기업 10곳 중 9곳 "내년 투자계획 못 세웠다"

商議, 316개 기업 조사
"위드 코로나 불확실성 커"
내년 투자 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기업이 10곳 중 9곳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위드 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가 시작됐지만, 국내 기업은 여전히 내년 경영환경을 불확실하게 보고 있다는 분석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기업 316개사를 대상으로 ‘위드 코로나 시대의 기업환경 전망과 대응과제’에 대해 설문 조사한 결과 “내년 투자 계획을 수립했다”고 응답한 기업이 전체의 11.7%에 불과했다고 7일 발표했다. “아직 검토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도 56.2%에 달했다.기업이 투자 계획을 확정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경영환경 불확실성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의 68%는 “위드 코로나 시대에도 기업환경의 불확실성이 지속되거나 확대될 것”이라고 답했다. 반면 “완화될 것”이라는 답변은 32%에 그쳤다. 기업이 가장 우려하는 불확실성 요소는 원자재 수급과 물류난(37.7%)이었다. 인력 부족(20.6%), 노동 등 규제환경 지속(17.1%)도 기업 활동에 영향을 준다고 응답했다.

정부가 지원해야 할 과제로는 물가 안정 및 원자재 수급난 해소(31%)가 가장 많이 꼽혔다. 경기 활성화(25%), 기업 투자에 대한 금융·세제 지원(23.1%)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뒤를 이었다. 기업의 대응 방안으로는 적극적인 연구개발(R&D)과 투자(32%), 사업구조 재편(16%), 내실 경영(15%) 등을 꼽았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철강 등 원자재 가격이 급등해 영업이익이 줄거나 반도체 등 주요 부품 조달이 어려워 생산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며 “주 52시간제가 지난 7월부터 모든 사업장으로 확대됐고, 강화된 중대재해처벌법이 내년부터 시행되는 등 규제 리스크도 커졌다”고 말했다.

이수빈 기자 lsb@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