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공항법 등 대구경북 숙원사업 이번엔 성과낼까

신산업 인재양성 등 수년째 제자리
내년 정부예산안 심의 앞두고
시·도, 국회의원들과 현안 논의
대구시와 국민의힘이 3일 대구시청에서 내년도 예산 확보와 현안 해결을 위한 예산정책간담회를 열었다. /대구시 제공
신산업 인재 양성과 대구경북신공항 특별법, 영일만횡단고속도로 건설 등 대구와 경북의 숙원사업이 수년째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국회 예산심의를 앞두고 야당인 국민의힘 일색의 대구 및 경북 국회의원들이 현안 해결에 얼마나 성과를 낼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대구시와 경상북도는 내년도 정부예산안의 국회예산 심의를 앞두고 3일 대구시청에서 국민의힘과 예산정책협의회를 열어 지역 현안 해결 및 주요사업 국비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대구시는 신산업 인재 양성을 위한 지자체·대학 협력 기반 지역혁신 사업과 대구경북통합신공항 특별법 제·개정을 건의했다.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사업비 총 3430억원)은 대구경북 혁신대학 설립, 지역 주력산업 인재양성 및 기업 연구개발(R&D) 지원 등의 사업이지만 두 번 연속 탈락했다. 현재 지역혁신플랫폼 사업 가운데 복수형사업 미선정 지역은 대구와 경북이 유일하다. 대구시 관계자는 “신산업 육성을 위해 대구시와 경상북도가 자체 예산으로 휴스타사업을 추진해왔지만 국비사업은 오히려 대구와 경북만 외면받고 있다”며 “복수형 플랫폼 사업 예산 반영이 꼭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대구시와 경상북도는 대구경북신공항 관련법의 제정과 개정도 건의했다. 민간공항의 경우 특별법 제정을 건의했다. 중장거리 운항이 가능한 민간 전용 활주로 건설,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면제, 국가재정 우선 지원을 위한 특별법 제정이 필요하다는 논리다.

군공항은 이전·건설 과정에서 드는 초과비용과 주변지역 지원사업에 대해 국가가 부담하는 내용을 신설하는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개정’을 건의했다. 대구의 한 경제인은 “대구와 경북에 여권 지역구 국회의원이 한 명도 없는 상태에서 그나마 협치를 하던 홍의락 대구시 경제부시장도 물러났다”며 “이런 마당에 국민의힘이 예산심의 과정에서 어느 정도 능력을 보일지 관심이 많다”고 말했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