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끼린 위안·루블화 쓰자"…中·러 '달러 패권' 견제

러 정유사 위안화로 항공유 결제
양국 교역에서 달러 비중 '반토막'

美제재 가능성 대비 脫달러 가속
중국과 러시아가 미국 달러 대신 자국 통화를 활용한 무역 결제를 늘리고 있다. 미국이 중국과 러시아를 견제하기 위해 달러를 제재 무기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6일 중국 관영매체 글로벌타임스에 따르면 러시아의 가스 기업 가즈프롬 산하 정유회사인 가즈프롬네프트는 이달부터 중국과 러시아를 오가는 항공기 급유 비용을 달러 대신 위안화와 루블화로 받기 시작했다. 가즈프롬네프트는 중국 내 34개 공항에서 항공유 급유 사업을 하고 있다.전문가들은 중국과 러시아 간 교역이 늘어나는 가운데 주요 상품의 자국 통화 결제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쑹쿠이 중·러지역경제연구소장은 “미국이 달러를 제재 무기로 사용할 가능성이 커 중국과 러시아는 무역 안전과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달러 비중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중 갈등이 고조되면서 일부 미국 정치인은 중국을 글로벌 달러 결제 시스템에서 배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또 지난 4월 유럽연합(EU) 의회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금융 결제망인 국제은행간통신협회(SWIFT)에서 러시아를 차단하겠다는 결의안을 통과시키기도 했다.

리신 상하이 국제문제연구원 러시아·중앙아시아연구센터 주임은 “미국이 세계 결제 시스템을 독점한 상황에서 중국과 러시아는 위험을 분산해야 할 이유가 높아지고 있다”며 “양국 간 통화 스와프를 늘려야 한다”고 제안했다. 두 나라는 2014년 1500억위안(약 245억달러) 규모의 3년 통화스와프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 계약은 2017년에 3년 연장됐다.지난해까지 중국과 러시아의 교역 규모는 3년 연속 1000억달러(약 116조원)를 넘어섰다. 러시아 중앙은행과 세관당국에 따르면 중·러 간 교역에서 위안화 결제 비중은 17% 이상이다. 러시아의 외환보유액에서 위안화 비중은 12%를 넘는다.

중국 인민대 보고서에 따르면 중·러 간 교역에서 달러 결제 비중은 2015년 90%에서 지난해 상반기 46%로 떨어진 반면 위안·루블 결제 비중은 24%로 늘어났다. 중국이 러시아에 수출하는 주요 품목은 휴대폰, 노트북PC, 자동차 부품 등이다. 러시아산 원유와 천연가스, 석탄, 식물성 기름 등이 중국으로 주로 수입된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