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17세·임신부도 4분기부터 코로나 19 백신 맞는다

12~17세 276만명·임신부 27만명 추가 접종 예상
mRNA 계열 백신 접종 검토, 6개월 후 부스터샷
코로나19 백신 접종 대상에서 제외됐던 12~17세 소아·청소년과 임신부도 4분기부터 백신 접종을 받게 됐다. /사진=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백신 접종 대상에서 제외됐던 12~17세 소아·청소년과 임신부도 4분기부터 백신 접종을 받게 됐다.

코로나 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은 "예방접종전문위원회(접종위)가 지난 25일 열린 회의에서 임신부 및 12~17세 연령층에 대한 백신 접종 여부를 심의해 이같이 권고했다"고 30일 밝혔다. 접종위는 국내 예방접종 대상에서 제외됐던 임신부, 12~17세 소아·청소년에 대해 접종이 가능하도록 권고하면서 "최근 화이자 백신 접종 연령을 12세 이상으로 확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통해 안전성가 유효성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또 "임신부의 경우 코로나 19 감염 고위험군으로, 현재까지 예방 접종의 안전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면서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일본 등 주요 국가에서도 접종 후 효과, 안전성이 확인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추진단은 현재 화이자 백신이 12세 이상으로 허가가 나와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소아·청소년에게는 화이자 백신을 주로 접종한다는 계획이다. 식약처에서 접종 연령 하한선을 12세로 조정하는 허가 변경 사항을 검토 중인 모더나 백신에 대해서도 변경이 진행되면 접종을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또 임신부의 경우에도 현재 mRNA(메신저리보핵산) 계열 백신을 주로 접종할 것으로 검토하고 있다.

접종위는 이들에 대해 백신별 접종 권고 횟수를 맞은 뒤 6개월 후 부스터샷 접종을 권고하기도 했다. 추진단은 이 같은 권고 사항을 반영해 9월 중으로 임신부, 소아·청소년 및 추가접종에 대한 접종 계획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18~49세 대상 1차 접종을 9월까지 마무리한 뒤 4분기부터 소아·청소년, 임산부 접종을 시행하는 것을 목표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추가 접종 대상이 되는 12~17세 인구는 276만명, 임신부는 27만명 정도로 추산된다. 정은경 추진단장은 "4분기 접종계획 준비 과정에서 접종위를 열어 기본적인 실시 기준 권고 사항을 검토했고, 이를 기반으로 예방접종지침·안내문·이상 반응 조사계획 등 구체적인 세부 시행계획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 접종대상 확대가 전체 접종률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18세 이상 접종률에 더해 미접종자, 소아·청소년의 접종 참여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 예상하긴 어렵다"면서도 "3분기 정도까지 대다수 국민의 1·2차 접종이 어느 정도 진행되기 때문에 4분기 추가접종 대상 규모는 그렇게 클 것 같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