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사 인수, 메타버스 회의…DGB금융, 디지털 전환 속도

알고리즘 주식 투자 플랫폼
'뉴지스탁' 지분 74% 확보
제페토서 미술 전시회도 개최
대구은행이 메타버스 공간 제페토에서 진행한 단체이벤트 모습. /DGB대구은행 제공
DGB금융그룹(회장 김태오)이 메타버스 경영을 확대하고 핀테크업체를 인수하는 등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DGB금융그룹은 지난 13일 핀테크기업인 뉴지스탁(대표 문경록 문호준)의 지분 74.03%를 인수해 그룹의 10번째 자회사로 편입했다. 그룹의 디지털 혁신 및 전환 가속화와 자본시장 강화 전략의 일환이다. 국내 금융그룹이 핀테크사를 인수한 최초의 사례다.뉴지스탁은 ‘개인투자자도 수익을 낼 수 있는 환경을 만들자’는 기치로 2011년 설립된 국내 1위 알고리즘 주식투자 플랫폼 기업이다. 8월 현재 10만 명 이상의 이용자를 확보하고 12개 주요 증권사와 제휴하고 있다. 대표 서비스는 ‘젠포트’로, 소수 전문가 영역인 퀀트투자(데이터 기반 전략투자)를 일반인도 쉽게 할 수 있게 해준다. 젠포트 서비스를 통해 투자자는 쉽고 빠르게 투자 알고리즘을 직접 만들고 검증하며, 자산관리까지 할 수 있다. 개인의 투자전략에 최적화된 비스포크형 주식 투자다.

투자자들은 자신의 투자 알고리즘을 마켓에 올려 판매하거나 검증된 다른 투자자의 알고리즘을 구매할 수 있다(젠마트). 알고리즘에 대한 교육 콘텐츠를 전문가들로부터 제공받을 수도 있다(젠문가). 현재 뉴지스탁 플랫폼에 축적된 투자 알고리즘은 260만 건으로 매일 약 5000건의 알고리즘이 새롭게 생성되고 있다. 100% 젠포트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거래되는 자산 규모(AUM)는 1400억원, 월 주식 거래대금은 1조1000억원으로, 합리적 투자성향을 지닌 밀레니얼 투자자가 증가하면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DGB금융그룹은 뉴지스탁의 서비스 범위를 미국 중국 등 글로벌 주식시장으로 확대하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 그룹 계열사들과 연계해 고객에게 알고리즘 주식 투자 경험을 제공하고 다양한 콜라보 상품을 선보일 방침이다.DGB금융그룹은 지난 5월 금융권 최초로 지주 경영진회의를 제페토(네이버제트(Z)가 운영하는 증강현실 아바타 서비스)에서 진행했다. 또 메타버스 홀로그램 회의 공간인 ‘스페이셜’을 활용해 ‘디지털 페셔니스타’ 사내모임, ‘DGB With-U’시상식도 제페토에서 개최했다.

최근에는 제페토에서 금융권 최초로 미술 전시회 ‘DGB 제페토 갤러리’를 오픈했다. 대구은행 본점의 ‘DGB갤러리’에서 열리는 미술 전시회와 동일한 플랫폼을 구현했다. 지난 17일에는 그룹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성과와 미래를 담은 ‘2020~2021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기념식을 금융권 최초로 메타버스 기반의 소설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인 ‘이프랜드(ifland)’에서 열었다.

대구은행(은행장 임성훈)은 직원 단합을 위한 방안으로 ‘메타버스에서 만나요’ 이벤트도 했다.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채널이 확산되는 만큼 디지털 뉴트렌드 경험도를 증대시켜 디지털 문화에 앞장서고 메타버스 주 고객층인 MZ세대를 공략하기 위해서다.제페토 공간에 마련된 대구은행 맵에 접속하면 대구 수성동 대구은행 본점을 구현한 가상 맵이 등장한다. 직원들은 캐릭터를 생성하고 프로필을 작성해 ‘가상공간의 제2의 디지털 자아’를 생성한 후, 부점별 동시 접속을 하면서 만난다. 디지털 문화에 익숙한 20~30대 직원뿐 아니라 전 직급, 연령대의 직원들이 참여하고 있다.

임성훈 대구은행장은 “메타버스에 그룹 관련 가상세계를 만들어 이미지를 브랜딩하고 메타버스 내 가상은행을 운영해 신규 고객 접점 채널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대구=오경묵 기자 okmook@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