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기업·공공기관과 클라우드 협업 확대

KT가 질병관리청 ‘코로나19 예방접종 사전예약 시스템’에 네트워크 기술을 지원했다. KT 직원들이 질병관리청 전자 예방접종 증명 시스템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KT 제공
KT의 신사업 중 핵심으로 꼽히는 ‘인공지능(AI)/디지털 전환(DX)’ 사업이 선전하고 있다. 클라우드와 인터넷데이터센터(IDC) 부문이 효자노릇을 톡톡히 한 덕분이다.

클라우드는 데이터를 IDC와 같은 물리적 서버에 저장해 인터넷에 접속하기만 하면 언제 어디서든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게 한 기술이다. 최근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는 기업과 공공기관이 많아지면서 기존 서버에서 다루던 데이터를 안전하고 신속하게 옮길 수 있는 클라우드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KT는 클라우드 사업을 통해 공공기업과 금융부문 등에서 성과를 이어가고 있다. 국내에서 가장 많은 IDC(14개)를 확보하는 등 기반 역량을 강화한 덕분이다. KT는 네트워크·데이터센터·클라우드를 모두 보유한 유일한 클라우드 사업자다. 이에 힘입어 지난 2분기 AI/DX 사업 매출이 1372억원으로 늘었다. 전년 대비 6.2% 증가한 수치다.

KT 클라우드 사업은 공공부문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구축하고 있다. 공공기관 전용 ‘KT G-클라우드’를 통해서다. 상황에 따라 필요한 사용량을 신속하고 유연하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사용량이 고정된 자체 인프라보다 긴급상황 대처가 빠른 게 특징이다. G-클라우드는 질병관리청이 운영하는 코로나19 정보관리시스템과 예방접종 증명 시스템(CooV)에 활용되고 있다.

G-클라우드는 공공기관이 가장 중요시하는 보안과 서비스 안전성도 장점이다. G-클라우드는 분산서비스거부(DDoS·디도스) 보안 장치, 침입차단시스템(IPS) 서비스, 방화벽, 매니지드형 웹방화벽(WAF) 등 맞춤형 보안 서비스 구성을 돕는다. 여기에 자체기술 ‘커넥트허브’를 통해 고객사 시스템 환경과 KT IDC, 고객사 데이터 센터, 제휴 글로벌 멀티 클라우드 등의 자연스러운 연동을 지원한다.저렴한 서비스 가격도 경쟁력 중 하나다. KT는 업계 1위 인터넷서비스제공사업자(ISP)의 역량을 바탕으로 클라우드 전용 데이터센터를 통해 테라비피에스(Tbps)급 네트워크 대역폭을 제공한다. KT는 네트워크 무상 트래픽을 제공(VM당 최대 2TB/월)하는데, 이는 타사 대비 1000배 수준이다. 트래픽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획기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배성수 기자 baeba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