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케미칼, 친환경 포장재로 교체

폐플라스틱 재활용 포장백 개발
여수공장 생산 제품에 적용
롯데케미칼의 제품 포장재가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만든 친환경 소재로 바뀐다. 연간 300t의 플라스틱을 재활용해 자원 선순환에 기여하겠다는 취지다.

롯데케미칼은 지난 7월부터 자체 개발한 재생 플라스틱(재생 폴리에틸렌·PCR-PE)으로 만든 포장재(사진)를 활용해 제품을 출고하고 있다고 9일 발표했다. 회사 측은 전체 원료의 30%를 재생 플라스틱으로 사용해 일반 플라스틱 포장백과 비슷한 수준의 물성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설명했다.폴리에틸렌(PE)을 주원료로 한 일반 포장백은 폐기 후 낮은 품질의 원료로 재활용되거나 일반 쓰레기로 버려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롯데케미칼은 올해부터 재생 플라스틱 포장백 적용을 위한 연구개발을 추진해 왔다.

롯데케미칼은 여수공장에서 생산되는 월 3000t 상당의 내수용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제품 출하에 새 포장백을 시범 적용 중이다. 올해 말까지 월 1만5000t 규모로 적용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포장백에 투입되는 재생 플라스틱 비중도 현재 30% 수준에서 점차 늘려나간다.

롯데케미칼은 지난해 9월 국내 최초로 화장품 및 식품 용기에 적용할 수 있는 재생 폴리프로필렌(PCR-PP) 소재를 개발해 고객사에 공급하고 있다. 지난 2월에는 친환경 사업전략인 ‘그린 프로미스 2030’을 발표했다. 폐플라스틱 재활용 제품 판매량을 100만t까지 확대한다는 것이 골자다.황진구 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대표는 “PCR-PE 포장백 도입으로 상당량의 플라스틱을 재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생산, 판매 및 재활용까지 전 과정을 아우르는 플라스틱 선순환 구축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황정환 기자 ju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