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산업 선점 위해 위성 개발·서비스까지 스타트업과 손잡겠다"

한창헌 미래사업부문장

지난 4월 한·미 미사일지침 종료
민간 우주발사체산업 기폭제로
우주산업 생태계 구축에 힘 쓸 것

SK텔레콤·KT 통신사업자와 협업
글로벌 통신사업 서비스 확대해야
“국내 우주산업 밸류체인(공급망) 구축을 통해 다양한 민간 위성플랫폼 개발 및 서비스 사업을 미래 신성장 동력으로 삼겠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우주산업을 책임지는 한창헌 미래사업부문장(사진)은 지난 9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KAI는 올 2월 우주산업 트렌드 변화에 선제 대응하기 위한 ‘뉴스페이스 태스크포스(TF)’를 출범시키며 우주산업 선점에 나섰다. TF장을 맡은 한 부문장은 KAI야말로 국내 우주산업을 주도할 적임자라고 강조했다.그는 “KAI는 삼성 대우 현대 3사 통합 이전인 1994년부터 위성산업에 참여했다”며 “지금까지 국내 위성 개발 과정에서 이뤄낸 국산화 품목의 80%를 KAI가 맡았다”고 설명했다. 또 “군 정찰위성도 KAI가 적극 개발에 참여하고 있기 때문에 민·군 합작 위성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국내 유일한 항공우주 종합기업으로, 우주산업 분야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맡겠다는 것이 한 부문장의 구상이다.

지난 5월 한·미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미사일지침 종료가 민간 우주발사체 산업 도약을 위한 획기적 계기가 될 것으로 그는 내다봤다. 1979년 체결된 한·미 미사일지침은 미국이 탄도미사일 개발에 필요한 기술을 이전해주는 대신 사거리와 탄두 중량을 각각 180㎞와 500㎏으로 제한했다. 앞서 탄두 중량과 우주발사체의 고체연료 사용 제한이 해제된 데 이어 사거리 제한까지 사라졌다. 한 부문장은 “미사일지침 종료로 군·민간 미사일과 우주발사체에 대한 다양한 기술 교류가 이뤄질 것”이라며 “민간 차원에서 소형부터 대형 발사체까지 다양한 발사체 플랫폼 개발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KAI는 달 착륙선 발사 프로젝트도 진행 중이다. 정부는 2030년 달착륙선 발사 프로젝트의 첫 단계로 내년에 달 궤도선을 제작해 발사하겠다는 계획이다. KAI는 지난해 10월 달 궤도선 본체인 구조체 비행모델(FM)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공급했다. 한 부문장은 “지금까지 정부가 주도해 온 우주산업이 앞으로는 KAI를 비롯한 민간기업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바뀔 것”으로 예상했다.그는 우주산업 선점을 위해선 스타트업을 비롯한 생태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금까지 우주산업은 미국 유럽 등 일부 우주기관과 소수 항공우주기업의 전유물로 여겨졌다. 위성 데이터의 상업적 활용이 늘어나고, 기술 교류가 확대되면서 글로벌 밸류체인은 급격히 확대되고 있다. KAI도 단순한 위성 개발을 넘어 이를 활용한 서비스업까지 진출해야 한다는 것이 한 부문장의 판단이다. 그는 “위성 개발부터 조립, 시험, 발사, 운영 및 활용 서비스까지 스타트업과 협업해 글로벌 시장을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큰 성장이 기대되는 통신위성 시장에도 진출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를 위해 국내 통신사업자와 유기적으로 협업하겠다고 했다. 한 부문장은 “통신위성을 개발해 쏘아 올리는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야 한다”며 “민간사업자와 협력해 통신위성을 활용한 글로벌 통신사업 서비스를 확대하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밝혔다.

사천=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