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필동 일대 지구단위계획 "지역 특성 반영해 주거지 관리"

퇴계로와 남산공원 사이 필동 일대 36만6553㎡
인쇄산업 밀집지역, 건축물 용도 완화
남산골 한옥마을 주변, 문화 예술 공간으로 특화
서울 중구 필동로 주변 인쇄업 밀집지역의 건축물 용도가 완화되고, 남산골 한옥마을 주변은 문화·예술공간으로 특화된다.

서울시는 지난 8일 제6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수권소위원회를 열고 필동로 주변 지구단위계획구역 및 지구단위계획을 '수정가결'했다고 9일 밝혔다. 수권소위는 도시계획위원회에서 권한을 위임 받아 용적률 가구수 등 상정된 정비계획안을 검토하고 결정하는 기구다. 대상지는 퇴계로와 남산공원 사이의 필동1·2·3가, 남학동, 묵정동, 장충동2가 일대 36만6553㎡다. 자연 역사 문화 산업 대학 등 지역 특성을 반영해 주거지를 계획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이같은 지구단위계획을 새로 수립했다는 게 서울시 설명이다. 구역 내 옛길, 건축자산 등 역사문화 자원을 보전하고 활용해 매력적인 도심 주거지를 조성한다는 취지다.

계획안에 따르면 필동 일대 용도지역은 제1종~3종 일반주거지역과 일반상업지역으로 구분된다. 또 용도지구로 자연경관지구, 역사문화특화경관지구로 고도지구로 각각 분류돼 있다.

이를 토대로 필동 일대 인쇄산업지역에선 일부 밀집지역에 한해 건축물 용도를 완화해주기로 했다. 현재 이 지역은 1990년대부터 을지로·광희동지역 인쇄 관련 업체가 이전해 1000여 개 업체가 몰려 있다. 제2종일반주거지역(7층)으로 가로구역에만 인쇄업체들이 들어설 수 있지만 일부 밀집지역에 한해 '제2종근린생활시설 중 제조업'을 적용해 구역 안쪽에도 인쇄업체가 들어갈 수 있도록 완화해 주기로 한 것이다. 남산으로 둘러싸인 제1종일반주거지역은 정주 환경을 회복하기 위해 비주거용도를 집중적으로 관리하고, 주요 가로변의 건축물 형태 지침을 두고 도시경관 보호와 보행 활성화를 유도할 방침이다. 또 남산골 한옥마을 주변에 권장용도 도입 시 주차장 설치기준을 완화해 주고, 최대개발 규모도 일정부분 늘려줘 문화·예술 공간으로 특화한다는 계획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지구단위계획 결정으로 필동 일대가 쾌적하고 안전한 주거지 특성을 회복하고, 종묘~세운상가~남산으로 이어지는 역사도심 남북 보행축이 활성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안상미 기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