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통풍 치료제 美임상 2상 완료…효능·안전성 입증

2027년 글로벌 상용화 목표
LG화학은 통풍 치료제 ‘LC350189’의 미국 임상 2상을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1일 밝혔다.

LC350189는 통풍의 주요 원인인 요산을 생성하는 효소 ‘잔틴 옥시다제’(XO)의 발현을 억제한다. 이를 통해 요산의 과다 생성을 막아 통풍을 치료할 것으로 기대된다. 1일 1회 먹는(경구용) 치료제로 개발 중이다. 2상은 미국 내 45개 기관에서 156명의 통풍 환자를 대상으로 했다. 임상은 피험자를 LC350189 50·100·200mg 투여군, 가짜약(위약) 투여군 등 총 4개군과 탐색적 활성대조군인 ‘페북소스타트’(Febuxostat)군(13명)으로 나눠, 3개월간 진행됐다.

임상 결과, 1차 평가지표인 ‘복용 3개월 시점 혈청 요산 농도 1dL당 5mg 미만 달성률’은 LC350189 200mg군에서 62%로 나타났다. 위약군은 3%, 페북소스타트군은 23%로, LC350189 투여군과 큰 차이를 보였다. 50·100mg 등 저용량군의 달성률도 각각 47%, 45%로 높았다.

2차 평가지표인 ‘복용 3개월 시점 혈청 요산 농도 1dL당 6mg 미만 달성률’은 LC350189 200·100·50mg 투여군에서 각각 78%, 63%, 59%였다. 반면 위약군은 3%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는 설명이다. 페북소스타트군은 54%의 달성률을 보였다.또 복용 2주 내에 효과를 확인해, 빠른 약효를 확인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부작용 측면에서도 위약군과 유사한 수준의 안전성 및 내약성을 입증했다.

LG화학은 2027년 글로벌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손지웅 LG화학 생명과학사업본부장은 “임상 2상에서 확인된 LC350189의 잠재력을 바탕으로 세계 통풍 환자들에게 보다 나은 치료제를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예나 기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