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수수료 절반 인하…업계 "그래도 갑질"

"1000원 대신 500원 뺏는 것"
게임업계 "우리는 두배 더 내"
구글이 자사 앱 장터에 강제할 디지털 콘텐츠의 매출 수수료를 15%로 책정하기로 했다. 당초 계획보다 절반으로 줄였다. 하지만 관련 업계는 여전히 비용 부담이 크다며 반발하고 있다.

구글은 24일 ‘구글 개발자 블로그’를 통해 자사 앱 장터인 ‘플레이 스토어’의 결제방식(인앱결제)에서 발생하는 매출에 대한 수수료를 30%에서 15%로 할인해주는 ‘구글플레이 미디어 경험 프로그램’을 내놓는다고 발표했다. 대상은 영상, 오디오, 도서 등 디지털 콘텐츠 분야에 한정한다.앞서 구글은 오는 10월부터 웹툰, 음원 등 디지털 콘텐츠 앱에 인앱결제를 강제한다고 밝혔다. 현재 구글은 게임 앱에 대해서만 인앱결제를 의무화하고 있다.

이번 구글의 조치에 국내 디지털콘텐츠업계는 여전히 반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구글이 1000원 대신 500원만 빼앗겠다는 것과 같다”고 토로했다. 구글의 인앱결제 확대로 웹툰, 음원 서비스 판매 가격이 높아져 소비자만 피해를 볼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게임업계도 크게 반발하고 있다. 게임업계 관계자는 “같은 플랫폼에서 게임사에만 수수료를 두 배 더 받겠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주완 기자 kjwa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