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계도 뜨거운 '메타버스 바람'

'…새로운 기회' '이미 시작…' 등
일상과 산업의 뜨거운 화두로 등장한 메타버스를 분석·조명하는 책이 잇따라 출간되고 있다. 메타버스가 각 분야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는데도 여전히 이를 생소하게 여기는 이들이 적지 않아서다. 메타버스는 현실세계를 뜻하는 ‘유니버스’와 가상을 의미하는 ‘메타’의 합성어. 현실과 가상세계의 융합을 가리킨다.

정보기술(IT) 트렌드 팟캐스트를 운영하는 이임복 씨는 지난 15일 《메타버스, 이미 시작된 미래》(천그루숲)를 출간했다. 메타버스가 주목받게 된 이유와 메타버스의 유형, 최근 관심이 높아진 대체불가토큰(NFT) 등에 대한 설명을 담았다.
IT 전문가인 최형욱 퓨처디자이너스 대표도 이에 앞서 《메타버스가 만드는 가상경제 시대가 온다》(한스미디어)를 선보였고, 지난달 말엔 대표적 메타버스 전문가인 김상균 강원대 교수와 투자 전문가 신병호 씨가 함께 쓴 《메타버스 새로운 기회》(베가북스)도 출간됐다.

메타버스의 개념을 처음으로 선보인 닐 스티븐슨의 1992년작 공상과학(SF)소설 《스노 크래시》(문학세계사)도 재출간됐다. 최근 메타버스 붐이 일면서 2008년 절판됐던 책을 새로 번역해 내놨다. 이 소설의 주인공은 현실에선 마피아에 빚을 진 피자 배달기사지만 메타버스에선 뛰어난 해커이자 검객으로 활약한다. 2003년 온라인 가상현실 플랫폼 ‘세컨드 라이프’를 출시한 린든랩의 창업자 필립 로즈데일을 비롯해 세르게이 브린 구글 공동창업자,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 등이 큰 영향을 받은 작품이다.

출판계 관계자는 “메타버스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은 커진 데 비해 아직 생소한 면이 많은 까닭에 메타버스를 소개하는 책 출간이 계속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김동욱 기자 kimdw@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