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도 2학기부터 전면 등교

강의실당 100명 미만 제한
정부가 초·중·고교에 이어 대학도 2학기에 전면 등교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비대면 수업이 이어지는 바람에 야기된 학력 저하 등의 부작용을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다. 2학기 대면수업 방안을 확정한 서울대에서 신속 유전자증폭(PCR) 검사가 이뤄지고 있다. /신경훈 기자
정부가 초·중·고교에 이어 대학도 2학기에 전면 등교하도록 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대학들이 코로나19로 강의를 온라인 중심으로 전환한 지 세 학기 만이다.

8일 교육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전국 대학의 대면수업 전환 방안’을 이달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교육부 고위 관계자는 “대학가에서 이대로는 토론, 실험실습, 국제 교류 등의 학사활동을 이어가기 어렵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각 대학의 상황과 여건을 고려하되 2학기에 대면수업을 사실상 전면 도입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백신 접종에 따른 집단면역 효과가 하반기에 가시적으로 나타날 것이라는 의료계의 관측도 전면 등교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교육부는 지난달 자체 코로나19 신속검사 시스템을 구축한 서울대에 관련 자료를 요청했다. 이를 바탕으로 의대가 있는 대학에는 ‘서울대식 방역 시스템’ 도입을 권고할 계획이다. 서울대는 두 시간 안에 코로나19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신속 유전자증폭(PCR) 검사를 캠퍼스에 도입하고, 2학기부터 모든 수업을 대면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강좌 수강 인원을 100명 미만으로 제한하고 초과하면 인원을 분산하는 등의 세부 지침도 마련할 예정이다.

최만수 기자 bebop@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