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의 '핵심 보직' 점장…서울과 지방 어디가 좋을까 [박한신의 커머스톡]

서울 성수동 이마트 본사. 연합뉴스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마트의 ‘꽃’은 어떤 자리일까요. 사람에 따라 다르고 여러 보직이 있겠지만 ‘점장’을 빼놓을 수 없을 듯 합니다. 온라인에 밀리고 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오프라인 대형마트는 지역 상권의 중심 격이고, 이 점포를 책임지고 운영하는 일은 상권과 회사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업계 1위인 이마트를 기준으로 중요 점포는 연 매출이 2000억원에 달하는 곳도 있다고 합니다. 중간쯤 되는 곳은 1000억~1500억원 정도인듯 하고, 지방의 소형 점포는 500억원쯤인 곳도 있습니다. 큰 점포는 임원을 앞둔 고참 부장급이 맡는 경우가 많고, 점포 규모에 따라 비교적 연차가 낮은 부장급이 부임하기도 합니다.그러면 어떤 점포가 인기가 많을까요. 일단 본점이 있습니다. 이마트는 성수점, 홈플러스는 강서점이 본점입니다. 매출 규모도 규모지만 일단 본사 임원들의 이목이 집중되기 때문에 실적이 좋으면 승진이 잘 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단점은 모두 예상하듯 피곤하다는 겁니다. 본점이기 때문에 그 마트 브랜드의 ‘얼굴’일 수밖에 없습니다. 최고경영자(CEO)와 임원들도 시도때도 없이 방문합니다. 항상 준비 돼 있어야 하고 신경 쓸 게 많습니다. 본점뿐 아니라 서울과 수도권의 주요 점포는 항상 실적 스트레스에 시달릴 수밖에 없습니다.
홈플러스 강서본점. 홈플러스 제공
그래서인지 지방의 점장 자리도 의외로 인기가 많다고 합니다. 본점과 주요 점포에 없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우선 비교적 여유가 있습니다. 서울과 수도권의 오프라인 대형마트는 e커머스 채널과 격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지방은 온라인의 공세가 상대적으로 덜합니다. 해당 지역의 상권의 거점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비자들이 알아서 찾아오는 경향도 있습니다. 물론 매출이 정체돼 있기도 하고 딱히 늘릴 수 있는 방도도 마땅치 않은 데서 오는 스트레스도 있을 겁니다.지방 점장의 장점은 또 있습니다. 해당 지역의 ‘주요 인사’가 될 수 있다고 합니다. 지방 점포는 아무래도 해당 지역 상권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서울이나 수도권에 비해 큽니다. 지역 행사가 있으면 물품을 지원하기도 하고, 물품이 아니더라도 지역사회에 여러가지로 공헌할 게 많습니다. 이 때문에 점장은 무슨무슨 서장과 같은 지역의 단체장들, 주요 인사들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기도 합니다. 본사에서 해당 지역 출신의 점장 발령을 고려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네요.

물론 서울·수도권과 지방을 단순하게 이분화할 수는 없습니다. 대형마트들이 온라인 공세에 맞서 점포 효율화·리뉴얼에 나서는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습니다. 좋은 상품을 들여와 잘 팔면 됐던 시절과는 환경이 많이 다를 겁니다. 다만 ‘우리가 이용하는 점포에 이런 부분도 녹아들어 있구나’ 하는 정도로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박한신 기자 ph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