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28 최적지는 인천"...인천시, 유치 추진단 발족

인천시가 ‘제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 유치에 나섰다. 추진단을 발족하고 유치 최적지 홍보를 시작하기로 했다.

COP는 UN기후변화협약(UNFCCC) 당사국인 197개국이 1995년부터 매년 연말 지구온난화 방지 등 환경분야 의제를 논의하기 위해 모인 국제회의다. 대륙별 순환 개최 원칙에 따라 2023년 11월에는 아시아·태평양권에서 총회가 열릴 예정이다. 한국 개최가 유력해서 국내 주요도시들이 유치경쟁에 뛰어들었다. 인천시는 이달 27일 관계기관, 시민단체가 참여한 가운데 COP28 인천시 유치 추진단 발족식을 열고 본격 유치 활동에 나섰다고 27일 밝혔다. COP28 인천시 유치 추진단은 △ 국제행사 개최시 COP28 유치홍보 △COP28 인천시 유치 SNS, 기획보도 추진 △GCF 등 국제기구 활용 유치 활동 전개 △정부 관계부처 및 15개 국제기구 방문 홍보 △COP28 인천 유치 범 시민 분위기 조성 등을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COP28 유치를 통해 총 1611억 원의 경제효과와 고용유발 1000여 명 창출을 예상하고 있다.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 선도도시 홍보 및 발전역량 강화, 국제사회 신뢰확보를 통해 인천의 역할 및 위상 제고, 브랜드 가치 향상도 기대하고 있다.

인천시는 2018년 10월 ‘48차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총회’와 2019년 4월 송도 ‘2019 UN기후변화협약 적응주간’을 개최한 경험이 있다. 올해 12월에는 UN기후변화협약 적응주간을 개최할 예정이다. 안영규 인천시 행정부시장은 “GCF 등 15개 국제기구가 있는 글로벌 기후 중심도시로서 2023년 11월에 개최되는 COP28이 유치될 수 있도록 국제기구 활용 유치활동 전개, 범시민 캠페인, 홍보 등 전략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 외 경기 고양, 전남 여수 등 다른 지자체들도 한국 개최가 유력하다며 COP28 개최 의사를 밝히고 있다. 지자체들은 한국이 유력한 상황에서 2022년부터 행사 준비에 들어가면 시간이 너무 촉박해 개최도시를 우선 선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강준완 기자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