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뱅크, 1.2조원 투자 유치한다

자본금 2.1조원으로 늘어
몸집 키워 카카오뱅크 추격
케이뱅크가 사모펀드(PEF) 등으로부터 1조200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한다. 인터넷은행 1위 카카오뱅크(자본금 2조382억원·작년 말 기준) 수준의 자본금 규모(2조1016억원)를 갖추며 추격 발판을 마련했다.

20일 투자은행(IB)업계에 따르면 케이뱅크는 기존 주주를 비롯해 신규 투자자로부터 1조2000억원의 투자금을 유치하기로 하고 막바지 작업을 진행 중이다.미국계 PEF 베인캐피털(약 2000억원), 국내 PEF MBK파트너스(약 2000억원), 신한대체투자운용-JS PE(약 1000억원), MG새마을금고중앙회(약 1000억원) 등이 참여한다. 기존 주주 중에는 최대주주인 비씨카드가 최대 4000억원, 한화생명 등 소수지분을 보유한 주주들이 약 1000억원을 추가로 출자한다. 케이뱅크는 2023년을 목표로 기업공개(IPO)를 계획하고 있다.

케이뱅크는 출범 4년 만에 자본금을 2조1000억원대로 키우게 됐다. 케이뱅크는 2017년 자본금 2500억원으로 출범해 일곱 번의 유상증자를 거쳤다. 이번 투자금 유치는 당초 계획보다 두 배 늘어난 규모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하반기 6000억원을 목표로 유상증자에 나섰다. 비씨카드가 2000억원을 부담하고, 4000억원은 신규 투자자를 통해 유치할 계획이었으나 막바지에 큰손 투자자가 나서면서 투자 규모도 크게 증가했다.

케이뱅크는 이번 투자금을 발판으로 사업 다각화 등을 통해 카카오뱅크를 추격하겠다는 계획이다. 케이뱅크는 지난해 암호화폐 거래소 업비트와 제휴를 맺은 후 암호화폐 열풍에 힘입어 빠르게 고객을 늘리고 있다. 올 1분기에만 172만 개의 신규 계좌를 유치했다. 적자폭도 크게 줄었다. 올 1분기 123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350억원 손실을 낸 점을 감안하면 고무적인 성과다.소수 지분 투자자 보호 장치를 마련해 글로벌 투자자를 끌어들인 것이 이번 거래의 흥행 성공 요인이었다. 이번 거래 조건에는 2023년까지 케이뱅크 IPO가 무산될 경우 최대주주인 비씨카드가 콜옵션을 행사해 재무적투자자(FI) 지분을 사줘야 하는 드래그얼롱-콜옵션 조항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김채연 기자 why29@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