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제트 봇 AI' 출시…"반려동물 케어 최적"

반려동물 이상 징후 파악해 알려줘
삼성전자가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제트 봇 AI'를 27일 출시한다. 사진은 삼성디지털프라자 서울 강남본점에서 비스포크 제트 봇 AI를 소개하는 삼성전자 모델. 2021.4.27 [사진=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가 인공지능(AI) 기술로 사물인식 능력과 주행성능을 개선한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제트 봇 AI'를 출시한다고 27일 밝혔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비스포크 제트 봇 AI는 딥러닝 기반으로 100만장 이상의 이미지를 사전 학습해 국내 최다 수준의 사물 인식이 가능하다. 냉장고, 에어컨, TV, 소파, 침대 등 집안의 다양한 가전제품과 가구는 물론 반려동물의 배설물, 양말, 전선, 유리컵 등 기존에 인식하기 어려웠던 장애물까지 구분해 내는 것이 특징이다.인텔의 AI 솔루션 기반의 사물인식 능력을 바탕으로, 가구나 가전제품 같은 일반적인 사물에는 최대한 근접해 청소하고 애완견의 배설물이나 유리컵 등 장애물은 회피해 공간 특성에 최적화된 청소를 한다.

회사 측은 '액티브 스테레오 카메라(Active Stereo Camera)' 방식의 3D 센서를 탑재해 아주 작은 장애물도 감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2개의 카메라가 마치 사람처럼 공간과 사물을 3차원으로 인식할 뿐 아니라 추가로 '패턴빔'을 쏘아 카메라만으로 인식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장애물 감지와 공간 인식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자율주행 자동차에 활용되는 라이다(LiDAR) 센서를 기반으로 공간 특성에 맞게 최적의 경로를 선택해 주행할 수 있다. 이밖에 "TV 주변 청소해줘"와 같이 사용자가 음성명령만으로 원하는 공간을 지정해 간편한 청소가 가능하다고 삼성전자는 알렸다. 스마트싱스 앱을 통해 청소를 원하는 구역이나 제외하고 싶은 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양혜순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상무가 27일 삼성디지털프라자 강남본점에서 사물인식과 자율주행 기능이 강화된 인공지능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제트 봇 AI'를 소개하고 있다. 2021.4.27 [사진=삼성전자 제공]
신제품은 청소성능도 강화했다. 16개의 에어홀로 구성된 '제트 싸이클론'과 디지털 인버터 모터가 강력한 흡입력을 구현하고 바닥 소재를 자동으로 감지해 카펫처럼 먼지가 끼기 쉬운 재질에서는 더 강력하게 청소할 수 있다. 청소를 마친 뒤에는 도킹 스테이션인 '청정스테이션'으로 복귀해 충전과 함께 먼지통을 자동으로 비운다.

삼성의 사물인터넷 서비스인 '스마트싱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반려동물 돌봄 기능도 지원한다. '펫 케어' 서비스를 사용하면 집안에 홀로 남은 반려동물을 로봇청소기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심하게 짖거나 장시간 움직임이 없는 등 이상 징후나 행동을 감지해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도 제공한다.

신제품에 적용된 디지털 인버터 흡입 모터는 '평생보증' 서비스 대상으로, 소비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모터가 고장 나면 무상으로 수리 또는 교체 받을 수 있다. 색상은 미스티 화이트 등 5가지로 출시되며, 출고가는 159만원이다.양혜순 삼성전자 생활가전사업부 상무는 "비스포크 제트 봇 AI는 기존 로봇청소기 사용자들의 가장 큰 불만이었던 주행성능을 대폭 개선했을 뿐 아니라 자동 먼지 비움, 펫 케어 서비스 등과 같이 편의성을 높인 제품"이라고 말했다.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