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온실가스 감축 목표 더 높이겠다"

세계 기후정상회의서 연설
전문가 "탈원전 기조에선 무리"
< 바이든 발언 듣는 문 대통령 >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미국이 주최한 화상 기후정상회의에 참석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모니터)의 발언을 듣고 있다. 문 대통령은 ‘기후목표 증진’을 주제로 한 정상 세션 연설에서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추가 상향해 올해 유엔에 제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허문찬 기자 sweat@hankyung.com
문재인 대통령이 22일 세계 기후정상회의에서 국가 온실가스 총배출량을 목표 대비 추가로 감축할 것을 약속했다. 탈원전 정책기조하에서 무리하게 온실가스 감축에 속도를 내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문 대통령은 화상으로 열린 회의에서 ‘기후목표 증진’ 주제의 정상 세션 연설을 통해 “‘2030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추가 상향해 올해 유엔에 제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지난해 NDC를 2030년까지 2017년 대비 24.4% 감축하기로 했다”며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의지를 담아 NDC를 추가 상향하고자 한다”고 말했다.이와 관련해 외교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정부 부처 합동 브리핑에서 “정부는 올해 충분하고 투명한 사회적 논의 및 합의를 거쳐 NDC 상향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온실가스 추가 감축 추진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정동욱 중앙대 에너지시스템공학과 교수는 “탈원전 포기 등 구체적 실현 계획 없이 온실가스 추가 감축 선언만 하는 것은 무책임하다”고 지적했다.

미국 주최로 열린 이번 회의에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스가 요시히데 일본 총리 등 27개국 정상이 참석했다. 문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과 시 주석을 화상으로나마 함께 대면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개막연설에서 “미국은 이번 세기말까지 온실가스를 반으로 줄이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백악관은 2030년까지 미국의 탄소 배출을 2005년 대비 50~52% 줄이겠다고 밝혔다. 2015년 제시한 ‘2025년까지 26~28% 감축’보다 감축 규모를 두 배로 늘린 것이다.

임도원 기자/워싱턴=주용석 특파원 van7691@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