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사업부 돌연 해체한 화웨이

14개월 만에 AI 사업과 분리
"제조업서 SW서비스업으로 변신"
미국의 제재로 난관에 봉착한 중국 화웨이가 신성장 동력 중 하나인 클라우드 사업부를 돌연 해체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드웨어 제조업체에서 소프트웨어 서비스 회사로 변신하기 위해 전면적 개편을 시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7일 경제전문매체 차이신에 따르면 화웨이는 최근 사내 공지를 통해 클라우드·인공지능(AI) 사업부를 폐쇄한다고 발표했다. 이 사업부를 독립 출범시킨 지 불과 14개월 만에 내린 조치다. 사업부를 둘로 나눠 서버·저장장치 등이 포함된 클라우드 영역은 신설 정보통신기술(ICT) 부문으로 편입한다. AI 부문은 연구개발(R&D) 조직으로 이관한다.화웨이의 클라우드 사업이 최근 가시적 성과를 내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이번 조치가 예상 밖이라는 평가다. 이 회사는 2010년 클라우드 발전 전략을 내놨고, 2017년 해당 사업부를 발족시켰다. 시장조사업체 캐널리스에 따르면 화웨이는 지난해 4분기 중국 클라우드 시장에서 17.4% 점유율을 기록하며 2위에 올랐다. 화웨이의 클라우드 사업부가 포함된 기업 부문의 지난해 매출은 전년 대비 168% 급증했다.

지난해 말 런정페이 화웨이 최고경영자(CEO)는 “클라우드 사업을 최우선 순위에 놓겠다”고 선언하기도 했다. 미국의 반도체 구매 제한 제재가 스마트폰과 통신장비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이에 해당하지 않는 클라우드를 적극 키우겠다는 의도로 풀이됐다.

화웨이가 클라우드 사업부를 해체한 것과 관련해 한 직원은 차이신에 “경쟁사들에 비해 역량이 많이 부족하다는 판단에 따라 전면적 조직 개편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제재로 인해 하드웨어 제조업체에서 소프트웨어 서비스업체로 변신하기 위해 ‘선택과 집중’을 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일각에선 정부 지원 아래 클라우드 사업이 빠르게 성장했으나 확장성에서 한계를 맞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