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17만명↓…공공일자리 재개로 감소폭은 둔화

고용부, 2월 사업체노동력 조사
지난달 사업체 종사자 수가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17만 명 감소했다. 30만 명 이상 줄었던 직전 두 달에 비해서는 감소폭이 절반으로 둔화됐다. 하지만 이는 공공일자리 사업 재개에 따른 것으로 본격적인 고용 회복 신호로 보기는 힘들다는 분석이 나온다.

고용노동부가 30일 발표한 ‘2월 사업체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종사자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 수는 1831만9000명으로 전년 동월에 비해 17만 명(0.9%) 감소했다. 지난해 12월 -33만4000명, 올해 1월 -35만1000명에 비해 감소폭이 절반가량 줄었다. 작년 12월과 올해 1월에는 코로나19 3차 유행에 연말 근로계약 종료, 공공일자리 사업 종료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고용지표가 크게 악화됐다.일자리 감소폭 축소는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완화와 정부의 공공일자리 사업 재개 영향이 컸다. 공공일자리가 포함된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만 6만4000명 증가했고, 공공행정업과 보건업에서 각각 3만5000명과 3만 명 늘었다.

지난 1월 역대 최대 감소폭(-24만 명)을 보였던 숙박음식업 종사자는 지난달 16만2000명 줄었다. 지난달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완화된 영향이다. 제조업은 6만8000명 감소해 13개월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다만 지난해 6월 7만 명대 감소폭을 기록한 이후 8개월 만에 6만 명대로 감소폭이 줄었다. 계약기간이 1년 이상으로 비교적 양질의 일자리로 꼽히는 상용직 근로자도 -21만8000명으로 전월(-30만3000명)보다 감소폭이 줄었다. 공공일자리 사업 본격화에 따라 임시일용직 근로자는 6만5000명 늘었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