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 임대주택, 준공 8년만에 붕괴 위험…"부실시공" vs "관리 소홀"

사진=한경DB
서울주택도시공사(SH)가 매입해 공급한 다가구 임대주택이 붕괴 위험 진단을 받아 주민들이 이주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23일 SH공사에 따르면 지난해 10월께 서울 도봉구 방학동 소재 매입형 임대주택 외벽에 균열 등이 발견돼 안전진단 검사를 진행했다.그 결과 최하위인 2등급으로 붕괴 위험 판정을 받았고, SH공사는 이 주택에 거주하던 10가구를 인근 다른 주택으로 이주시켰다.

해당 주택은 2012년 6월 구청에서 준공 승인을 받은 건물 2동을 SH공사가 24억5000만원에 매입한 것으로, 준공 이후 불과 8년여 만에 붕괴 위험에 이른 셈이다.

이와 관련 SH공사는 건설사의 부실시공을 탓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SH공사의 관리·감독이 소홀했던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SH공사는 "임대주택용으로 민간 건물 매입 시 지금은 신축 전부터 약정하는 방식이어서 설계 단계부터 공사가 개입할 수는 있지만, 9년에는 건설사가 이미 지어놓은 주택을 준공 승인 후 매입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부실공사를 알 수 없는 구조였다"고 설명했다.

SH공사는 현재 해당 건물의 부실시공 등 문제에 대해 건설사에 법적 책임을 묻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