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한은 총재 "코로나, 경제에 장기 후유증 우려"

"韓 경제 아직 터널 못 벗어나
美 회복속도 빨라 인플레 우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사진)가 17일 “코로나19 사태가 ‘롱 코비드(long Covid)’로 불리는 장기 후유증을 남기면서 위기 극복 후에도 한국 경제에 적잖은 부담을 줄 것”이라고 했다.

이 총재는 이날 국민경제자문회의와 한국경제학회가 공동으로 연 ‘코로나19 방역정책과 백신보급의 경제적 효과’ 정책포럼 영상 축사에서 “우리 경제의 취약성이 코로나19 위기로 더 드러나게 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 경제의 취약점으로는 △자산시장 자금 쏠림 △가계·기업의 부채 확대 △부문·계층 간 불평등 심화 △기업 투자 위축 등을 꼽았다.이 총재는 한국 경제가 여전히 터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본격적 회복을 확신할 수 없게 하는 위험 요인이 곳곳에 숨어 있다”며 “회복 속도는 코로나19 전개 양상과 백신 보급 상황에 크게 영향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경계심도 드러냈다.

이 총재는 “미국의 경기 회복 속도가 빨라질 경우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질 것”이라며 “미 중앙은행(Fed)의 통화정책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도 커질 수 있다”고 했다.

가계·기업이 코로나19 직후 바뀌는 경제 구조에 대비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 총재는 “코로나19로 경제주체의 행태가 바뀌는 가운데 국제교역과 산업구조 재편 속도도 빨라지고 있다”며 “민간이 새로운 성장 엔진을 주도적으로 발굴하는 한편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간이 기술·자본 접근성을 높여 투자 여건을 개선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이 총재는 “경제 구조가 변화하면서 소득 불평등이 갈수록 심화할 수 있는 만큼 사회안전망 확충 노력도 절실하다”고 했다. 그는 “가계· 기업이 어려움을 극복해 갈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