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서울, 5년새 경쟁력 급락…잠재력은 30계단 폭락"

미국 AT커니·일본 모리재단 보고서
서울 중구 남산서울타워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모습. 사진=뉴스1
세계 도시 경쟁력을 비교한 주요 지수에서 최근 5년새 서울의 순위가 크게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미국 컨설팅기업 AT커니의 '글로벌 도시 보고서'와 일본 모리기념재단의 '세계 도시 종합경쟁력 랭킹'를 분석한 결과 서울의 도시경쟁력이 지속 하락했다고 10일 밝혔다전경련에 따르면 서울은 AT커니가 기업활동과 인적자본 등 도시 경쟁력 수준을 평가한 글로벌 도시지수(GCI)에서 2015년 11위에 올랐지만, 2020년 17위로 6계단 떨어졌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와 중국 상하이, 베이징이 1년 새 각각 9단계, 7단계, 4단계 뛰어오른 것과 대비되는 것은 물론, 상위 30개 도시 중 가장 큰 하락폭이다.

서울은 기업하기 좋은 환경과 행정 역량, 민간투자 유치 등 미래 성장 잠재력을 평가한 글로벌 도시전망지수(GCO)에서도 2015년 12위에서 2020년 42위로 30계단 하락했다.일본 모리기념재단의 도시전략연구소가 세계 주요도시 40개를 대상으로 경제와 연구개발(R&D), 문화·교류, 주거, 환경, 교통·접근성을 평가한 세계 도시 종합경쟁력 순위(GPCI)에서도 서울은 2015년 6위에서 2020년 8위로 떨어졌다.

전경련은 서울이 GPCI 지수 중 도시환경과 문화에선 높은 점수를 받았지만 국내총생산(GDP) 성장률과 임금수준, 인재확보 용이성 등 13개 지표로 이루어진 경제 부문에선 순위가 8위에서 20위로 대폭 하락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GPCI는 경영자와 고급인재, 관광객, 거주자 등 4개 부문 행위자가 평가한 도시경쟁력 순위도 발표했다. 서울시는 글로벌 경영자와 고급인재 부문에서 2015년 각각 9위, 10위였으나 2020년에는 각각 28위, 29위로 하락했다.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최근 3년간 외국인 투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상황에서 경제활동 측면이 도시 경쟁력 저하로 이어질까 우려된다"며 "서울에 투자·경영 개선 및 수도권 규제혁신 등 새로운 모멘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