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팜, 이화여대와 유전자약물 전달체 공동 개발 협약

신규 유전자 약물 전달체 플랫폼 개발
2년간 개발비 전액 지원
에스티팜은 이화여대 산학협력단과 신규 유전자 약물 전달체 플랫폼 기술의 공동 개발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에스티팜이 지난해 6월 메신저리보핵산(mRNA) 자체 신약 개발을 위해 한국과 미국에서 두 차례 실시한 개방형 혁신(오픈 이노베이션) 연구과제 공모의 첫 성과다.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mRNA 및 짧은간섭리보핵산(siRNA) 등 리보핵산(RNA) 지질 나노입자(LNP) 플랫폼 기술을 공동 개발한다. 에스티팜은 2년 간의 개발비 전액을 지원한다. 개발 완료 후 지식재산권은 공동 명의로 출원할 예정이다.

LNP 플랫폼 기술은 RNA 유전자 백신과 치료제 개발의 핵심인 약물전달 기술이다. mRNA분자를 지질 나노입자로 감싸 미세한 환경 변화와 효소에 의한 분해로부터 보호한다. 또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mRNA 기반 코로나19 백신 생산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지만, 모더나 화이자 큐어백 등 소수의 회사만이 가지고 있다는 설명이다. 국내에는 이 기술을 보유한 업체가 전무하다.에스티팜은 자체 연구 중인 LNP 플랫폼 기술과 신규 LNP 플랫폼 기술을 추가로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감염병 및 항암 백신과 치료제 분야에서 자체 신약 개발과 수탁개발생산(CDMO)에 폭 넓게 적용할 예정이다.

이번 공동 개발로 약물 전달체의 온도 안정성을 개선하면 mRNA 백신의 냉동보관 문제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에스티팜 관계자는 “LNP 플랫폼 기술은 현재 코로나19 뿐만 아니라 코로나19의 변이, 앞으로 나타날 수 있는 새로운 바이러스에 대항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라며 “이번 공동 개발로 신규 LNP 플랫폼 기술을 추가로 확보해 mRNA 및 siRNA를 아우르는 RNA 유전자 백신과 치료제 개발 및 생산 기업으로 발돋움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예나 기자 yen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