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 안전관리·재난 대응 시스템…정부, 5G 기반 공공사업 키운다

초기 시장창출 지원 목표
"한국판 디지털 뉴딜 주도"
정부가 5세대(5G) 이동통신 기반 디지털 트윈 사업 확대에 나선다. 공공부문에서 신기술을 전략적으로 선도해 초기 시장 창출을 지원하겠다는 목표다. 지난해 1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은 ‘2020년 5G 기반 디지털 트윈 공공선도 사업 완료 보고회’를 열었다. 정부가 관련 보고회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광주시청 컨소시엄 등 34개 기관이 사업 성과를 공유했다.

광주시청 컨소시엄은 재난 대응을 위해 디지털 트윈 개념을 적용했다. 영호남 달빛동맹과 육군사관학교가 참여해 민관군 27개 시설물을 가상 시스템의 구현 대상으로 삼았다. 5G와 클라우드 플랫폼을 통해 시설 안전관리와 재난 대응 시스템을 만들었다. 가상의 환경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선제적 대응을 갖추려는 목적이다.민간기업인 (주)고려정밀 사례도 주목받았다.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했다. 지능형 폐쇄회로TV(CCTV)를 설치하고 공장 생산설비를 모니터링으로 연계해 플랫폼을 시범 적용했다.

김창용 NIPA 원장은 “디지털트윈 등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신기술은 디지털 비대면 시장의 기반을 마련해 한국판 뉴딜을 주도할 수 있다”며 “공공시설물뿐만 아니라 민간 제조시설로 사업 영역을 확장해 산업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사례를 바탕으로 정부는 각 플랫폼 분야 기업 간 컨소시엄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올해 적용되는 과기정통부의 ‘5G 기반 디지털 트윈 제조산업 적용 실증’ 공모안내서에 따르면 정부는 최소 3년간의 유지 보수 의무를 조건으로 혁신 플랫폼 기업들의 컨소시엄을 지원한다. 제조 공장 보유 기업이나 신규 기술력과 사업화 의지가 높은 요소기술 전문 기업이 대상이다. 과기정통부는 다음달 과제 신청 접수를 완료하고 본격적인 지원 대상자를 가린다는 계획이다.

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