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용 "위안부합의는 '밀실합의'…文 '어려운 결정'으로 합의 유지"

"文, 합의 틀 유지하며 문제 해결 방향 찾아"
"합의 파기 아냐…아직도 日자금 갖고 있어"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 연합뉴스
정의용 외교부 장관 후보자가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 “절차적으로 문제가 있었던 ‘밀실 합의’”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대선 후보 시절 ‘합의 무효화’라는 공약을 파기한 것과 관련해서는 “정치적으로 어려운 결정을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문 대통령이 지난달 직접 위안부 합의를 존중한다는 입장을 밝히며 한·일 관계 개선의 의지를 드러낸 가운데 정 후보자가 위안부 합의를 평가절하하며 한·일 관계에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정 후보자는 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정부가) 당시 피해자하고 전혀 상의를 안 하고 발표했고 발표 방법에 있어서도 10억엔을 받아 그걸로 완전히 합의한다는 내용에 대해 국민들이 수긍을 못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문 대통령이 2015년 합의의 틀을 유지하면서 피해자 중심으로 인격을 존중하고 회복해주는 방향으로의 문제 해결 방향을 찾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일 간 위안부 문제 관련 대화가 교착상태에 빠진 것의 책임은 일본에 돌렸다. 정 후보자는 “화해치유재단 돈을 우리가 대고 우리 정부가 피해자들에게 배상을 해주고 일본이 지급한 돈은 양국이 협의해서 처리하자고 제안한 건데 일본이 못 받겠다고 했다”며 “일본은 우리가 합의 파기했다고 하는데 전혀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아직도 일본이 준 돈을 갖고 있다”며 “정확한 금액은 모르지만 오십 몇 억원을 예치해두고 있다”고 덧붙였다.

일본에 상당히 전향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고 강조했다. 정 후보자는 “우리 정부는 상당히 전향적인 해결방안을 일본에 제시한 바 있다”며 “현재에도 (일본과) 계속 논의하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부의 대일(對日)외교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문엔 “정부는 그동안 한일 간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혜를 모았고, 일본을 설득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자부한다”고 답했다.

송영찬 기자 0full@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