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日 역사 왜곡 널리 알린다…사례 홈페이지에 공개

군함도의 모습./사진=연합뉴스
정부는 일본이 '군함도'(하시마·端島) 등 근대산업시설의 역사를 왜곡하는 것과 관련해 일본이 국제약속을 이행하도록 다양한 방안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문화체육관광부과 문화재청은 일본이 2019년 12월 유네스코에 제출한 '근대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 후속조치 이행경과보고서'와 지난해 12월 1일 세계유산센터에 제출한 '근대산업시설 세계유산 해석전략 이행보고서'를 분석해 왜곡 사례를 홈페이지에 공개했다.보고서 분석 결과, 일본은 이행경과보고서에서 수많은 한국인이 군함도에서 강제 노역한 사실을 포함한 전체 역사에 대한 해설을 언급하지 않았다. 아울러 관련 당사자들과의 대화에서 주요 당사국인 한국을 제외하기도 했다.

세계유산위원회의 권고를 이행하기 위한 일본 정부의 조치를 담은 '해석전략 이행보고서'에서도 본인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에서 강제 노역한 수많은 한국인 등 희생자를 기리는 조치를 하기보다 일본 노동자와 다른 지역 노동자들이 모두 가혹한 환경 속에 있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일본은 2015년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대표 발언을 통해 '1940년대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 등이 본인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에서 강제 노역한 사실을 이해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문체부는 이번 분석 결과를 널리 알리기 위해 카드뉴스로 제작하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재외문화원 등을 통해 배포할 예정이다.

아울러 문화재청은 올해 열리는 제44차 세계유산위원회를 앞두고 국제 전문가들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하나의 유산, 서로 다른 기억'을 주제로 다음달부터 7월까지 6차례 온라인 세미나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capital@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