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北, 당대회서 남북관계 개선 시사…김정은 절대화"

"김여정, 김정은 핵심보좌역 지속 가능성"
북한 조선중앙TV는 14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전날 평양체육관에서 열린 8차 당대회 기념 공연 '당을 노래하노라'를 관람했다고 보도했다. 이달 5∼12일 열린 당대회에서는 시종일관 엄숙한 표정이었던 김 위원장이 이날은 활짝 웃으며 만족감을 표했다. 조선중앙통신은 "총비서 동지께서 출연자들의 공연성과에 만족을 표시했다"고 보도했다. 사진=연합뉴스/조선중앙TV 화면
통일부는 14일 북한이 제8차 노동당 대회를 통해 내놓은 대남 메시지에 대해 "남북관계 개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통일부는 이날 배포한 '북한 8차 당 대회' 관련 분석자료를 통해 "우리의 '근본문제' 해결 등 성의 있는 태도 변화를 요구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북한이 당 대회에서 남측에 대해 첨단군사장비 반입 및 한미연합훈련 중단을 언급하며 "근본문제부터 풀어야 한다"고 한 부분을 짚은 것이다.

"남북관계 재개 의지 있어…경제 전반 정비와 보강에도 초점"

통일부는 특히 북한이 '파국에 처한 현 북남관계를 수습하고 개선하기 위한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해나가야 한다'고 촉구한 부분이 중요하다고 봤다. '적극적인 대책 강구'라는 표현에서 북한 또한 남북관계 재개 의지가 있다는 것을 역설한 것이라는 게 통일부의 해석했다.

이어 북한의 대남 관련 '새로운 길', '3년 전 봄날', '평화와 번영의 새 출발점'과 같은 표현들에 대해서 "우리 측 태도에 따른 남북관계 개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다만 북한이 해결을 요구한 '근본문제'가 남측이 수용하기 어려운 부분이란 것을 감안하면 통일부가 북한의 메시지를 긍정적으로만 해석한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북한 조선중앙TV는 14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전날 평양체육관에서 열린 8차 당대회 기념 공연 '당을 노래하노라'를 관람했다고 보도했다. 북한은 5일부터 여드레에 걸쳐 당대회를 진행했고, 폐막 다음날 기념공연을 개최했다. 사진=연합뉴스/조선중앙TV 화면
대외 문제와 관련해서도 통일부는 "북한이 미국을 '최대 주적'으로 표현하면서도 북미 간 대화의 문을 완전히 닫지는 않는 등 수위를 조절했다"며 "'강대강, 선대선 원칙'을 제시하며 향후 바이든 행정부 대북정책에 따라 북미협상 재개 또는 도발 등 강온양면 전략 대응을 예고했다"고 평가했다.

이번 당 대회에서 직책이 강등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여동생 김여정 당 부부장에 대해서는 "당 정치국 후보위원에서 제외돼 표면적으로는 위상이 하락했으나 대남·대외 등에서 김정은 위원장의 핵심 보좌역을 지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김정은 위원장이 '당 총비서'로 추대된 부분과 관련해서는 "위상과 권위가 절대화됐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 사진=연합뉴스
경제 부문에서는 "객관적인 평가를 토대로 경제 상황 개선 의지를 피력했고 자력갱생 노선을 중심으로 경제 전반의 정비와 보강에 초점을 맞췄다"고 평가했다.

제8차 당 대회 총평에서는 "국방력 강화를 통해 '국가보위', '인민안전' 등을 추구하며 향후 정세 변화를 대비하고, 대남·대미 입장 등과 관련해서는 구체적인 메시지를 내지 않고 향후 정세에 따른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으며 관망세를 견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ksoohyu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