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젤 "앞으로 3년 글로벌 대도약기…2025년 매출 1조"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서 발표
글로벌 영토 확장·제품군 확대
손지훈 휴젤 대표.
휴젤은 제39회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서 "2020년이 글로벌 빅마켓 진출의 원년이었다면, 앞으로의 3년은 글로벌 기업으로 비약적 성장을 거듭하는 휴젤의 대도약기가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고 14일 밝혔다.

휴젤은 전날(한국시각)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 이머징 마켓 트랙을 통해 '2020년 성과 및 2025년 비전'을 주제로 기업의 경쟁력과 성장 전략을 발표했다.회사가 추구하는 글로벌 사업의 핵심은 영토 확장 및 대형 시장 안착이다. 향후 3년 이내 보툴리눔 톡신 제제는 28개국에서 59개국, 히알루론산(HA) 필러는 31개국에서 53개국으로 판매국가를 늘린다는 목표다. 유럽과 미국을 포함해 보툴리눔 톡신 수출국이 59개국으로 확대되면 휴젤은 세계 시장의 95%에 진출하게 된다.

올해 휴젤은 첫 대형 시장 진출국인 중국에서의 사업을 성장 궤도에 올려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중국 사업은 근거 중심의 학술 마케팅과 공격적인 영업으로 시장 점유율 확대에 집중할 방침이다. 현지 협력사인 사환제약과 2021년 시장점유율 10%, 3년 내 30%를 달성하는 것이 목표다.

이를 위해 중국 현지에 트레이닝 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다. 센터를 통해 현지 의료인에게 학술 교육 등을 제공한다. 또 내달 4일 개최 예정인 온라인 출시회를 시작으로 주요 15개 도시에서 학술 행사를 여는 등 다양한 마케팅을 전개한다는 계획이다. 올 중순께에는 유럽에서 보툴리눔 톡신 제제의 허가를 받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오스트리아 크로마와 협력관계를 맺고 2025년까지 시장점유율 10~15% 달성을 목표하고 있다. 미국에는 올 1분기 판매허가를 신청할 예정이다. 미국은 자회사 휴젤아메리카를 통해 직접 판매한다는 방침이다.

휴젤은 향후 3년 간 글로벌 시장 확대를 통해 2025년 1조원 매출에 도전한다. 춘천에 위치한 휴젤 공장은 한국 뿐만 아니라 미국과 유럽 등 글로벌 규제에 부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지난해 착공한 보툴리눔 톡신 제3공장은 2023년부터 가동되며 연간 800만 바이알 생산이 가능하다. HA필러 신공장은 올 상반기부터 본격적인 제품 생산에 돌입할 예정이다. 생산 규모는 기존 연간 400만 시린지에서 800만 시린지로 2배 이상 증가한다.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