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바백스 백신 1000만명분 협상 막바지…빠르면 2분기 도입 [종합]

전통적 백신 제조법 사용…안전성 높아
긴 유통기한·상온보관 등 장점
정부가 미국 제약사 노바백스로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1000만명분을 구매하기 위해 진행 중인 협상이 막바지 단계에 이른 것으로 12일 확인됐다.

정부는 기존에 국내 도입 계약이 이뤄진 4종의 백신에 노바백스의 백신을 추가로 국내에 들여올 계획이다. 물량이 1000만명분 이상이 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계약 체결 시, 백신 물량 총 6600만명분으로

노바백스는 지난해 8월 SK바이오사이언스와 백신 국내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한 업체다. 이에 국내에서 제조된 백신 등 일부는 이르면 올해 2분기부터 도입될 가능성이 있다.

다만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임상 허가가 진행 중이기에, 승인 결과 시점에 따라 도입 시기가 달라질 수 있다.

노바백스 백신은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이용해 만든 항원 단백질을 직접 주입해 면역반응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백신 플랫폼 중 하나다. 이와 동일한 방식의 플랫폼으로 만들어진 백신이 다수 존재하는 전통적인 백신 제조법이기 때문에, 현재까지 나온 백신 중 안전성도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여기에 이 백신은 유통기한이 2∼3년으로 길어 기존에 도입될 예정인 4종의 백신에 대한 보완이 가능한 제품으로 평가된다.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유전물질이나 바이러스가 아니라 단백질 조각이기 때문에 2∼8도에서 상온 보관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정부는 현재까지 우리 국민 총 5600만명이 맞을 수 있는 코로나19 백신을 확보한 상태다. 정부는 다국적 제약사인 '아스트라제네카 1000만명분(2000만회분)', '얀센 600만명분(600만회분)', '화이자 1000만명분(2000만회분)', '모더나 2000만명분(4000만회분)' 등 4곳과 각각 구매 계약을 완료했다.

이와 별도로 백신 공동구매와 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서는 1000만명분(2000만회분)의 백신을 공급받아 국내에 도입할 예정이다.노바백스 백신까지 추가되면 국내에 도입되는 전체 백신 물량은 총 6600만명분으로 늘어난다.

김수현 한경닷컴 기자 ksoohyu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