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발원지 우한, 실제 감염자 10배 많을 수도"

중국 CDC "항체 형성률 4.4%" 보고서 발간
서방 매체 "1100만 우한 시민에 적용하면 50만명 감염 결론"
중국 매체 "빠른 통제로 확산 막아…집단면역에는 부족"
코로나19가 처음 확산되기 시작한 중국 후베이성 우한 화난수산시장에서 한 상인이 판매용 비둘기를 살펴보고 있다. /사진=AP
올해 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처음 확산한 중국 후베이성 우한 지역의 실제 감염자 수가 공식 통계보다 10배 많을 수 있다고 미국 블룸버그통신과 CNN 등이 2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서방 국가들은 중국이 코로나19 관련 정보를 은폐·축소해 왔다는 의혹을 지속적으로 제기해 왔다.

중국 질병예방통제센터(CDC)는 우한 주민의 약 4.43%의 혈액 샘플에서 코로나19 항체를 발견했다는 보고서를 지난 28일 저녁 발간했다. CDC는 중국 내 코로나19 대유행이 지나고 나서 확보한 3만4000명의 혈액 샘플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도출했다. 분석 대상에는 우한은 물론 후베이성의 다른 도시들과 당시 코로나19 확진 사례가 보고된 베이징, 상하이 등지의 주민들도 포함됐다.우한의 인구가 1100만명임을 고려하면 코로나19 감염자 수가 50만명에 달할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이는 중국 보건당국이 발표한 우한의 공식 코로나19 감염자 수인 5만354명보다 10배가량 많은 수치다.

우한을 제외한 후베이성의 다른 도시 주민들은 0.44% 만이 코로나19 항체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후베이성 외 지역 주민 1만2000여명의 혈액에서는 단 2명에게서만 코로나19 항체가 확인됐다.

바이러스성 감염병을 앓은 뒤 몸속에 항체가 형성되기 때문에 항체가 있다는 것은 해당 질병에 걸린 적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이 연구는 항체 표본 분석을 통해 감염자 수를 추정할 뿐 조사 결과가 최종 확진자 수를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중국 CDC는 설명했다.미국외교협회(CFR)의 선임 연구원인 옌중황은 중국이 초기에 코로나19 무증상 감염자를 공식 확진자 통계에 포함시키지 않았으며, 이번 연구 결과는 이런 축소 보고의 문제를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지금도 무증상 감염자를 별도로 집계하고 있다.

중국 CDC는 이번 보고서를 통해 초기 통제로 코로나19의 확산을 일찍 차단했다는 의미가 있다고 주장했다. 경제매체 차이신은 집단면역을 생성하기엔 여전히 항체 형성 비율이 낮아 백신 보급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31일은 올해 전 세계를 강타한 코로나19가 지난해 31일 세계보건기구에 보고된 지 1년 되는 날이다. 중국 우한의 화난수산시장에서 관측된 원인불명의 폐렴은 '우한 폐렴'으로 불리다 현재는 코로나19(COVID-19)로 불리고 있다. 바이러스 형태가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처럼 왕관(코로나) 모습을 띠고 있어 신종 코로나라는 이름이 붙었다.

베이징=강현우 특파원 hkang@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