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 코로나 이전부터 힘들었다

지난해 매출·영업이익 감소
사업체당 평균 부채 1.7억원
작년 소상공인 매출과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상공인 절반 이상이 빚을 졌고 사업체 한 곳당 평균 부채는 1억7000만원에 달했다. 올해는 코로나19 사태마저 겹쳐 소상공인의 경영 상황이 한층 악화했을 것으로 전망된다.

28일 통계청과 중소벤처기업부가 발표한 2019년 소상공인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소상공인 사업체 수는 277만 개로 전년보다 1.1%(3만 개) 늘었다. 종사자는 전년 대비 1.9%(12만 명) 증가한 644만 명이었다. 창업비용은 평균 1억200만원, 창업 준비기간은 평균 10.2개월이었다.소상공인은 업종별로 상시근로자가 5명(서비스업 등)~10명(제조업 등) 미만이면서 연매출은 10억(교육 서비스업 등)~120억원(가구 제조업 등) 이하인 사업체를 일컫는다.

작년 소상공인 사업체당 매출은 전년보다 40만원 줄어든 2억3470만원이었다. 사업체당 영업이익은 전년보다 100만원 감소한 3300만원에 그쳤다. 업종별로 보면 수리·기타 서비스업(-14.5%) 숙박·서비스업(-7.9%) 도·소매업(-2.7%)은 영업이익이 줄고 교육서비스업(10.4%) 제조업(0.5%)은 늘었다.

사업체당 부채액은 1억7100만원으로 전년보다 5.2% 줄었지만 부채 보유비율은 3.5%포인트 늘었다. 전체 소상공인 사업체의 51.9%가 빚을 지고 있었다.사업장을 빌려서 사업하는 임차사업장 비율은 지난해 79.3%로 전년 대비 0.5%포인트 증가했다. 임차 유형별로 보면 보증부 월세(85.3%)가 가장 많았고 무보증 월세(6.5%), 무상(3.8%), 전세(2.5%), 매출 대비 비례 지급(1.7%) 등이 뒤를 이었다. 자가 비율은 전년 대비 0.5% 감소한 20.7%였다.

보증부 월세의 경우 사업체당 평균 보증금은 2290만원, 월세는 127만원이었다. 전년보다 각각 4.4%, 4.2% 증가했다.

구은서 기자 ko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