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DHC 회장 또 혐한 발언…'존토리' 무슨 뜻?

日 DHC 회장 혐한 발언…'조센징'과 같은 뜻 '존토리' 사용
서경덕, DHC에 항의 메일 "진심으로 사과하라"
일본 화장품 대기업 DHC가 요시다 요시아키(吉田嘉明) 회장 명의로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재일 한국인을 비하해 큰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 16일 요시다 회장은 DHC의 온라인 홈쇼핑 사이트에 '자포자기 추첨에 대해서'라는 제목의 글에서 건강보조식품 경쟁사인 산토리와 자사를 비교하면서 "산토리의 CF에 기용된 탤런트는 어찌 된 일인지 거의 전원이 코리아(한국·조선) 계열 일본인이다. 그래서 인터넷에서는 '존토리'라고 야유당하는 것 같다"고 썼다.요시다 회장이 언급한 '존토리'에서 '존(チョン)'은 일본 내에서 한국인을 비하하는 은어로, '조센징'과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그는 "우리(DHC)는 탤런트 기용 등 모든 것이 순수한 일본인"이라고 했다.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일본 DHC측에 17일 항의 메일을 보내 "글로벌 기업이라면 최소한 타국의 소비자에 대한 기본적인 예의를 지켜야만 한다"고 충고했다. 특히 그는 "하지만 요시다 회장이 하는 말과 행동은 늘 천박했다. 당신의 이번 일로 인해 상처받은 재일 한국인들에게 진심으로 사과해라"고 강조했다.

요시다 회장은 2016년 2월 홈페이지의 회사 소개 코너에 올린 메시지에서도 재일 한국인을 '사이비 일본인'이라고 멸시하고 "모국으로 돌아가면 좋겠다"라고 쓰기도 했다.

특히 지난해 8월에는 DHC TV에 출연한 극우 성향의 인사가 한국의 일본 제품 불매운동에 대해 "한국은 원래 금방 뜨거워지고 금방 식는다", "조센징", "일본인이 한글을 통일했다"는 식의 혐한 발언을 해 논란이 됐다. 또 위안부 평화의 소녀상에 대해서도 "현대 아트라고 소개하며 성기를 내보여도 괜찮은가" 등 망언도 서슴지 않았다.이에 한국 네티즌들은 '#잘가요DHC'란 해시태그 캠페인을 SNS에 펼치며 불매운동을 진행했고 결국 올리브영과 랄라블라 등 국내 H&B 스토어에서 DHC 제품이 퇴출됐다. 또 한국 모델로 활동하던 배우 정유미 또한 모델료를 반납하고 DHC 코리아와 계약을 종료했다.


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newsinf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