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코로나 쇼크'…내년 성장률 2.2% 전망도 나와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 확산 속도가 거세지면서 한국 경제도 직격탄을 맞을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3% 안팎으로 추정되는 내년 경제성장률도 코로나19 확산세에 따라 2.2%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민간소비를 중심으로 흔들리면서 침체가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3일 0시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030명을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전날(950명)에 이어 역대 최다 기록을 이틀 연속 갈아치웠다. 확진자가 급증하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도 현재 2.5단계에서 3단계로 격상될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된다. 코로나19 확산 수위와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 여부에 따라 민간소비와 성장률이 상당한 충격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코로나19 3차 확산에 따른 충격이 예상을 넘어서면 민간소비 침체가 장기화할 우려가 크다"고 평가했다.
한국은행이 산출한 거시계량모형(BOK20)을 보면 코로나19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2.5단계가 적용될 경우 민간소비와 국내총생산(GDP)은 각각 13.4% 6.4% 감소할 것으로 봤다. 3단계가 적용되면 민간소비와 GDP가 16.6%, 8% 줄어든다고 추정했다.

코로나19가 확산되는 등 불확실성이 커지면 기업 실적과 설비투자에도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 한은 기업경영분석에 따르면 올해 2분기 기업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1%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감소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큰 만큼 기업은 설비투자와 고용을 줄일 여지가 높다. 민간소비와 설비투자 등 내수 경기가 급랭할 가능성이 커졌다. 내년 성장률이 2%대 초반대까지 떨어질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도 나온다. 한국은행은 올해와 내년 성장률을 각각 -1.1%, 3%로 전망했다. 하지만 코로나19의 진정 속도가 더뎌지거나 확산세가 꺾이지 않으면 내년 성장률이 2.2%로 떨어질 것이라고 봤다. 국제통화기금(IMF·2.9%), 경제협력개발기구(OECD·2.8%) 아시아개발은행(ADB·3.3%) 등이 제시한 내년 한국 성장률을 크게 밑도는 수치다. OECD가 제시한 2021년 한국의 잠재성장률(2.4%)에도 밑돈다.

GDP가 코로나19 직전인 작년 4분기(468조8143억원) 수준을 회복하는 시점도 내년 2~3분기에서 내후년으로 더뎌질 전망이다. 주원 실장은 "내년 국내외에서 대규모 코로나19 유행이 발생하면 경기 회복 시점은 내후년 상반기로 미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익환 기자 love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