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45세에 노동소득 '정점'…59세부터 '적자 인생'

통계청, 2017년 국민이전계정 결과
한국인은 45세에 가장 많은 노동소득을 벌어들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59세부터는 소비가 소득을 초과하는 ‘적자 인생’에 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7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17년 국민이전계정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 1인당 생애주기를 보면 0세부터 27세까지는 소비가 노동 소득보다 많아 적자가 발생한다. 적자 폭은 16세 때 3215만원으로 최대다. 노동소득은 없는데 소비는 3215만원에 달해서다. 일반 소비 외에도 교육소비, 보건소비 등 공공소비를 모두 포함한 것이다.

28세부터 58세까지는 노동소득이 소비보다 많은 흑자 구간이다. 노동소득은 45세 때 3353만원으로 최대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상적으로 임금은 40대 후반이나 50대 이후가 더 크지만 이 연령대에선 퇴직자도 증가해 1인당 평균 노동소득에선 45세가 정점이 됐다는 설명이다. 반면 45세 때 소비는 1869만원에 그쳐 흑자 폭도 1484만원으로 최대였다.59세부터는 다시 적자 인생으로 돌아선다. 59세 때 45만원이던 적자는 65세가 되면 814만원으로, 75세가 되면 1464만원으로 확대된다.

2017년 기준으로 15∼64세 노동연령층이 낸 세금은 125조2000억원으로 전년(112조7000억원)보다 11.1% 증가했다. 이 세금은 정부가 14세 이하 유년층에 60조7000억원, 65세 이상 노년층에 64조5000억원씩 배분한 것으로 집계됐다. 재배분 규모는 전년보다 각각 4.7%, 17.7% 증가했다.

강진규 기자 josep@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