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SK하이닉스, 코로나에도 R&D에 투자 '역대 최대'

사진=한경DB
국내 반도체 업계 '투톱'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올해 3분기까지 연구개발(R&D)에 투자한 비용이 역대 최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삼성전자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올 3분기 누적 R&D 투자 비용은 15조8971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동기(15조3000억원)보다 약 6000억원 증가해 또 다시 역대 최대 수준을 경신했다.상반기 기준 R&D 비용은 10조5851억원이었다. 삼성전자는 이후 3개월간 약 5조원을 더 투자한 것이다. 매출액 대비 R&D 비용의 비중은 9.1%를 기록했다.

삼성전자의 R&D 비용은 2017년 16조8000억원, 2018년 18조7000억원, 지난해 20조2000억원으로 꾸준히 증가세다. 이대로라면 올해 연간 기준으로도 역대 최대 수준일 전망이다.

이같은 R&D 투자 확대에 힘입어 삼성전자는 올해 들어 3분기까지 국내 특허 4974건, 미국 특허 6321건을 취득했다. 삼성전자는 현재 전 세계에서 누적 특허 19만4643건을 보유하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 누적 건수 기준으로 가장 많은 특허 7만5472건을 갖고 있다.시설 투자의 경우 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까지 25조5000억원을 집행했다. 이는 전년 동기(16조8000억원)과 비교해 52%나 증가한 수치다. 연간 시설 투자비는 약 35조2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삼성전자의 시설 투자 비용은 2017년 43조4000억원에서 2018년과 지난해 29조원, 26조원대까지 떨어졌다가 올해 30조원대를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는 "메모리 첨단 공정 전환, 반도체·디스플레이 증설 투자 등 주력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투자를 집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한편 SK하이닉스도 올해 역대 최대 규모로 R&D 투자를 집행했다.SK하이닉스 분기보고서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올해 3분기 누적 R&D 투자 비용은 2조6281억원으로, 지난해 동기(2조3281억원)보다 약 3000억원 증가했다.

연말까지 이 같은 기조가 유지될 경우 연간 R&D 투자 비용 최대치를 경신할 것으로 보인다. 매출액 대비 R&D 비용의 비중은 11.0%를 기록했다.

배성수 한경닷컴 기자 baebae@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