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심, 세계 5위 라면기업 인정…해외매출 1.1조 '신기록'

농심, 세계 5위 라면기업 올라

올해 해외매출 사상 최대
"9억9000만달러 전망"
농심은 올해 수출과 해외법인의 매출을 합한 총 해외 매출이 지난해보다 24% 증가한 9억9000만달러(1조1351억원)을 거둘 전망이라고 4일 밝혔다. 사진=농심 제공
농심이 한국기업 중 처음으로 전 세계 5위권 라면기업에 이름을 올리며 'K라면' 돌풍을 이어가고 있다. 대표 제품 '신라면'과 영화 '기생충'에 등장한 '짜파구리'(짜파게티+너구리) 인기에 올해 해외 매출이 신기록을 경신할 전망이다.

농심은 올해 수출과 해외법인의 매출을 합한 총 해외 매출이 지난해보다 24% 증가한 9억9000만달러(1조1351억원)을 거둘 전망이라고 4일 밝혔다. 미국, 중국 등 주요 법인에서 두 자릿 수 매출 성장이 나타나며 사상 최대치를 새로 쓸 것이란 관측이다.

농심은 해외에서 인기를 끈 대표 제품으로 '신라면'과 오스카상을 수상한 영화 '기생충'에 등장해 화제가 된 '짜파구리'(짜파게티+너구리)를 꼽았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전 세계에서 라면 소비가 급증해 수출이 크게 늘어난 점도 호실적을 이끌었다. 코로나19의 미국과 유럽 내 재확산으로 간편식 수요가 늘어 라면 소비가 급증했다는 설명이다. 농심은 미국과 중국 등에서 현지 생산 라인을 전부 가동하고 수출 물량을 늘려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있다.
농심은 올해 수출과 해외법인의 매출을 합한 총 해외 매출이 지난해보다 24% 증가한 9억9000만달러(1조1351억원)을 거둘 전망이라고 4일 밝혔다. 사진=농심 제공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보인 미국법인의 경우 올해 매출이 지난해보다 약 28% 증가한 3억2600만달러의 매출을 거둘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법인은 올해 중국법인을 제치고 해외 사업 선두자리를 차지하게 됐다.

농심 현지 대형 마트인 월마트와 코스트코에서 올해 각각 47%, 37% 매출 신장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미국에서 신라면 매출이 26% 뛴 1억2000만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유럽 시장에서는 영국 테스코·모리슨·아스다, 독일 레베·에데카 등 주요 유통업체를 중심으로 영업망을 구축해 수출액이 30%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농심은 "신라면은 해외 사업의 핵심"이라며 "올해 신라면 해외 매출이 30% 증가한 3억9000만달러에 달할 전망이고, 농심 해외사업의 40% 가량을 홀로 담당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농심은 올해 수출과 해외법인의 매출을 합한 총 해외 매출이 지난해보다 24% 증가한 9억9000만달러(1조1351억원)을 거둘 전망이라고 4일 밝혔다. 사진=농심 제공
한편, 유로모니터는 지난달 26일 발표한 '2019∼2020년 포장 식품-인스턴트 국수' 통계 자료에서 농심을 한국 기업 중 처음으로 전 세계 라면기업 5위로 집계했다.

농심의 세계 라면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5.3%, 올해 예상치 5.7%를 기록했다. 올해 중국 캉스푸(13.4%), 일본 닛신(9.9%), 인도네시아 인도푸드(7.5%), 일본 토요스이산(7.3%)의 뒤를 이었다.

농심은 "3위인 인도푸드와의 점유율 격차가 1.8%포인트이고 최근 공격적인 글로벌 사업 행보로 볼 때, 수년 내 세계시장 3 위 자리까지도 가능하다는 분석"이라고 덧붙였다.

오정민 한경닷컴 기자 blooming@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