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연 위안부 피해자 '마포쉼터' 8년 만에 폐쇄

유품·기록물, 마포구 별도 수장고 보관
정의연 운영 위안부 피해자 '쉼터' 전무
정의기억연대가 서울 마포구 연남동에서 8년간 운영해온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쉼터 '평화의 우리집'(마포쉼터)이 문을 닫았다. /사진=연합뉴스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운영해오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쉼터 '평화의 우리집(마포쉼터)'이 8년 만에 폐쇄됐다.

정의연은 지난 27일 마포쉼터 내부를 정리하고 이사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쉼터에 보관했던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유품과 기록물 등 자료는 마포구에 마련된 별도 수장고에 이관된 것으로 전해졌다. 마포쉼터는 2012년 명성교회로부터 무상 임대를 받아 설립됐다. 정의연 전신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가 서대문구에서 운영하던 기존 쉼터 시설이 열악해 새 공간을 물색하다 명성교회로부터 무상으로 임대받아 사용해온 곳이다.

마포쉼터에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고 이순덕 할머니와 고 김복동 할머니가 생전에 머물렀다. 올해 6월까지 길원옥(92) 할머니 1명이 거주했다.

길원옥 할머니까지 지난 6월 거쳐를 옮기면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가 한 명도 남지 않게 되자 정의연은 쉼터 기능을 할 수 없게 됐다는 판단에 마포쉼터 운영을 중단하고 건물 소유주인 명성교회에 건물을 반환키로 결정했다. 안성 힐링센터에 이어 마포쉼터까지 문을 닫으면서 정의연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을 위해 운영하는 '쉼터'는 단 한 곳도 남지 않게 됐다.

이보배 한경닷컴 객원기자 newsinfo@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