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인 64% "中얼굴인식 기술 남용"…'빅브라더' 우려

응답자 80% "내 정보 어떻게 처리되는지 신경쓰여"
중국인 10명 중 6명이 자국 내에서 얼굴인식 기술이 남용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사진=게티이미지
중국인 10명 중 6명꼴로 자국 내에서 얼굴인식 기술이 남용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중국 과기일보에 따르면 중국 전역에서 2만명 이상 대상으로 한 남방도시보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64.4%가 "얼굴인식 기술이 남용되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응답자 30% 이상은 얼굴 정보 유출과 남용 때문에 사생활과 재산 침해를 경험했다고 말했다.과기일보는 설문 응답자들이 모바일 결제 등 얼굴인식 기술의 편리성은 인정했으나 안전 위험에 대해 우려를 표시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에서는 교통법규 위반자 식별이나 지하철 탑승, 상점 결제 등에 얼굴인식 기술이 빠르게 적용되고 있다. 상하이 등 일부 도시에서 쓰레기를 버리는데도 얼굴인식을 거치기도 한다.

하지만 얼굴인식 기술의 무분별한 적용이 개인정보 유출과 사생활 침해로 이어져 '빅 브러더 사회'가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번 설문에서 얼굴인식 기술이 남용되고 있다고 답한 사람은 베이징과 상하이, 광저우, 선전 등 4대 도시와 각 성의 성도에서 많았다. 이들 대도시에서 얼굴인식 기술이 보다 많이 보급된 상황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인다.중국 내 사생활 보호 의식도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80%는 자신들의 얼굴 정보가 어떻게 처리되는지에 대해 신경 쓴다고 답변한 것으로 집계됐다.

설문조사 보고서는 얼굴 정보가 개인정보 가운데 가장 민감한 바이오 정보로 더욱 보호해야 할 대상이라면서 입법 및 표준 제정 등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는 개인정보 수집과 사용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기 위해 개인정보 보호법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

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capital@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