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동 아파트단지 재건축 땐 2만 가구 이상 추가 공급 가능"

대한민국 도시 이야기
인터뷰 - 김수영 양천구청

집값 상승 두려워 공급 막으면
사회 갈등과 가격 불안만 초래
재건축 추진, 속도감 있게 해야
“재건축이 필요한 아파트에 대해선 속도감 있게 사업을 추진해야 시장이 안정됩니다. 단기 집값 상승이 두려워 공급을 틀어막으면 사회 갈등과 가격 불안을 초래합니다. 수요가 넘치는 목동 아파트 단지 재건축을 빠르게 진행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김수영 양천구청장(56·사진)은 13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14개 단지, 2만6000여 가구에 이르는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 단지가 모두 재건축되면 시장에 2만 가구 이상을 추가로 공급할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최근 목동 신시가지 일대 분위기는 많이 가라앉은 상황이다. 지난달 목동9단지가 재건축 정밀 안전진단에서 최종 탈락하면서다. 재건축 기대가 꺾여 급매물도 쏟아지고 있다. 그럼에도 김 구청장은 목동 아파트 14개 모든 단지의 재건축을 차질 없이 추진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내비쳤다. 목동 신시가지 아파트 재건축은 양천구민의 최대 관심사이자, 김 구청장의 가장 큰 숙제이기도 하다.

김 구청장은 목동 아파트 단지 재건축의 후방 지원을 위해 내년 초 ‘목동아파트 재건축 전담팀’을 꾸릴 예정이다. 서울 25개 자치구 중 특정 아파트 단지를 대상으로 한 재건축 전담팀을 구성하는 것은 양천구가 처음이다.

김 구청장은 대규모 재건축 이후 양천구의 모습에 대한 고민도 함께하고 있다. 목동 아파트 14개 단지가 모두 재건축되면 현재 5만여 명인 아파트 거주자는 최소 10만여 명으로 두 배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인프라 확충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는 “미술관 등 문화 인프라 확대를 준비하고 있다”며 “목(木)동의 상징인 녹지 공간도 충분히 확보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김 구청장은 “재건축 규제 완화를 통한 공급 확대가 단기적인 집값 상승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일각의 우려에는 동의했다. 하지만 이런 과정이 두려워 공급을 틀어막고 있으면 집값이 되레 천정부지로 뛰어오를 것이라는 게 그의 의견이다. 김 구청장은 “정부가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주택 공급을 이어가겠다는 신호를 보내면 시장 가격은 자연스럽게 조정된다”며 “재건축 규제를 완화해 공급을 늘리면 장기적으로 집값이 안정세를 되찾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구청장은 시장에서 재건축을 기대하고 있는 아파트 단지에 대해선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재건축 추진 기간이 길어지면 이 기간을 버티지 못하고 집을 판 사람, 훨씬 더 오른 가격에 집을 산 사람, 재건축이 진행될 때까지 기다리는 사람 모두 불만이 커질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