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증시 랠리' 주역도 개미

저유가發 위기에도 거래량 급증
IT·식품 등 우량 中企 위주 투자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개미 투자 열풍이 불고 있다. 미국 ‘로빈후드 투자자’, 한국의 ‘동학개미’가 최근 주식시장에 대거 유입된 것과 비슷한 현상이다.

1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전날 기준 사우디에서 하루 평균 주식 거래량은 120억리얄(약 3조7500억원)에 달했다. 작년 같은 기간 거래량보다 약 2.5배 많다. 국제 유가가 배럴당 100달러에 가까웠던 2014년 9월과 비교해서도 거래량이 늘었다. 최근 국제 유가가 배럴당 40달러 선으로 떨어져 사우디 경제가 큰 타격을 받은 것을 고려하면 매우 이례적이라는 평가다.개인투자자들이 돈을 쏟아부으면서 사우디 증시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사우디 증시의 대표 지수인 타다울 올셰어지수는 올 3월 16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5959.69로 밀렸다. 이후 상승세를 거듭해 지난 16일엔 8311.21로 39.5% 올랐다.

사우디 개인투자자들은 정보기술(IT) 기업과 보험사, 식품기업 등 중견·중소기업 주식으로 몰리고 있다. 사우디 국부펀드와 뮤추얼펀드가 사우디아람코 등 대형 기업을 위주로 투자하는 것과는 반대 움직임이다. 이 덕분에 올 들어 사우디 증시에선 중소형주 수익률이 대형주 수익률을 앞섰다. 주가 상승률이 높은 종목은 대부분 시가총액이 1억~2억달러(약 1180억~2350억원) 이하인 기업이다. 시총이 2억달러 수준인 아랍해상정보시스템은 작년 대비 주가가 205% 뛰었다. 같은 기간 사우디아람코 수익률은 3%에 그쳤다.

코로나19 이후 대거 풀린 유동성이 갈 곳을 찾지 못해 증시로 몰리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사우디 금융기업인 알라지캐피털의 마젠 알 수다이리 리서치센터장은 “사우디의 물가 상승률은 높아지고 채권 수익률이 떨어지는 것도 증시에 사람이 몰리는 이유”라고 했다.

선한결 기자 alway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