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조7000억원…BTS 빌보드 1위 경제 효과도 '다이너마이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분석
일자리 창출 효과 7928명 추산
사진=연합뉴스
한국 대중음악 역사상 최초로 미국 빌보드 메인 싱글차트 ‘핫 100’ 1위에 오른 방탄소년단(BTS·사진) 신곡 ‘다이너마이트’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약 1조7000억원에 달할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지난 1일 빌보드 ‘핫 100’ 1위를 차지한 ‘다이너마이트’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한 결과 산업 생산 유발 효과는 1조2324억원, 부가가치 효과는 4801억원, 일자리 창출 효과는 7928명으로 추산됐다고 7일 밝혔다. 문화관광연구원 문화산업연구센터는 BTS 소속사 빅히트엔터테인먼트의 매출 규모, 한국은행 투입산출표,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 ‘구글 트렌드’ 검색량 등을 종합해 분석했다.문화관광연구원은 ‘다이너마이트’로 인한 직접적 매출 규모를 2457억원, 화장품 식료품 의류 등 연관 소비재 수출 증가 규모는 3717억원으로 추산했다. 박찬욱 문화관광연구원 문화산업연구센터장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해외 이동이 제한되고 현장 콘서트 등이 전혀 열리지 못하는 현실을 감안해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따른 효과 부문을 제외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는 “직접적 매출 규모도 현장 콘서트가 불가능한 현실을 감안해 순회공연 매출액을 제외하고 온라인 콘서트 매출액을 적용했다”며 “향후 이런 부분을 포함하고 국가 이미지, 국가 브랜드 가치 제고에 따른 상승효과 등을 고려하면 경제적 파급 효과는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BTS 등 K팝 가수들의 세계적인 인기와 영화 ‘기생충’의 미국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 등 한국 문화콘텐츠의 위상이 높아지면서 관련 분야 국제지수도 올라갔다. 문체부에 따르면 유엔 산하 세계지식재산기구(WIPO)가 지난 2일 발표한 ‘2020 글로벌 혁신지수(GII)’에서 한국은 전년 대비 한 계단 상승한 10위를 기록했다. 지수를 발표하기 시작한 2007년 이래 첫 10위권 진입이다. 8위를 차지한 싱가포르에 이어 아시아 국가에서는 두 번째로 높은 순위다.

이미아 기자 mia@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