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소독제 차 안에 두면 화재 위험…"사용 뒤 충분히 말려야"

여름철 자동차에 손 소독제를 보관하면 화재의 위험이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사진=게티이미지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여파로 여름철 자동차에 손 소독제를 보관하는 사례가 늘어나는 가운데 자칫 화재 위험이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소방연구원은 지난 6월 경기도 군포소방서에서 의뢰해 손 소독제 14종을 분석한 결과를 19일 발표했다.분석 결과 국내산 2종과 외국산 5종의 에탄올 함량이 60%를 넘어 위험물안전관리법상의 위험물로 판정돼 안전관리가 특별히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방연구원은 손 소독제의 주성분인 에탄올은 휘발성이 강해 뜨거워진 차량 내부에서 가연성 증기를 확산할 수 있고, 이때 라이터 불꽃 등의 점화에너지가 가해지면 화재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여름철 복사열로 온도가 높아진 차 안에서는 에탄올의 증기압이 높아져 플라스틱 소독제 용기가 터질 수 있는데, 이때 내용물이 눈에 들어가면 각막이 화상을 입을 수 있다고 전했다.실제로 지난달 대구에서 5살 어린이가 손 소독제를 사용하려다 용기 속의 내용물이 튀어나와 각막에 화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지난 3월 싱가포르에서는 한 가정주부가 손 소독제로 손을 소독한 뒤 조리용 기구에 불을 붙이다가 손과 팔에 3도 화상을 입는 사고도 있었다.

소방연구원은 손 소독제를 차 안에 보관하지 말아야 하며, 화기를 사용할 때는 손에 바른 손소독제가 충분히 마른 뒤에 사용할 것을 당부했다.손 소독제가 눈에 들어갔을 때는 즉시 흐르는 물로 씻고 병원에서 응급처치를 받아야 한다.

이미경 한경닷컴 기자 capital@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