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택시·관용 경유차 5년내 퇴출

市, 수송 분야 그린뉴딜 계획
전기·수소차로 전면 교체
2025년 이후 서울에서는 경유로 달리는 택시와 시내버스를 볼 수 없게 된다. 서울시와 25개 구, 산하기관에서 이용하는 공용차는 물론 서울시 인허가가 필요한 시내버스, 택시, 공항버스, 시티투어버스 등도 단계적으로 친환경차로 교체한다.

서울시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시 경유차 퇴출 추진계획’을 29일 발표했다. 서울시는 우선 시·구·산하기관이 새로 관용차를 구입할 때 경유차 구매를 금지하기로 했다. 보유 중인 경유차는 사용가능연한이 지나면 즉시 전기차나 수소차 등 친환경차로 교체할 예정이다. 사용가능연한이 2025년 이후인 차량도 조기 교체를 추진한다. 시·구·산하기관이 보유한 전체 차량 7978대 중 경유차는 5153대(64.6%)다. 친환경차 미개발로 교체가 어려운 중형화물차와 특수차 등 1125대는 2025년 이후 교체해나갈 계획이다.서울시의 인허가가 필요한 시내버스와 택시, 공항버스, 시티투어버스 역시 앞으로 친환경차만 신규 등록을 허용하고, 운행 중인 경유차는 2025년까지 친환경차로 바꿔나갈 계획이다. 서울시 인허가를 받은 택시와 시내버스 등은 총 7만6793대이고, 이 중 경유차는 721대(0.9%)다. 시는 압축천연가스(CNG)를 원료로 하는 시내버스도 전체(7396대)의 절반 이상인 4000대를 2025년까지 전기·수소버스로 바꾸기로 했다. LPG 택시도 친환경차로 서둘러 교체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이달 초 ‘서울판 그린뉴딜’을 발표하면서 2035년까지 휘발유와 경유로 움직이는 내연기관 차량의 서울 사대문 안 진입을 막고, 해당 시기에 맞춰 내연기관 차량의 신규 등록을 금지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박종관 기자 pjk@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