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흠 "수명자 쓴 적도 없던데" vs 추미애 "법률 사전에 있다니까요"

"수명자 표현 군사법원서 사용되는 것"
"법률 용어 사전에 있다니까요" 추미애 박태흠 고성
"아들과 박원순 피해자 연결시키지 말라"
미래통합당 김태흠 의원이 22일 국회 본회의에서 열린 정치·외교·통일·안보에 관한 대정부질문에서 참석, 박병석 국회의장에게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답변 태도를 문제삼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 '수명자'라는 표현이 주로 군사법원에서 사용되는 거예요." (김태흠 미래통합당 의원)

"아니, 법률용어 사전에 있다니까요? 저는 명령·지휘 이런 말을 즐겨 씁니다. 왜 저는 쓰면 안 되겠습니까? 최고 감독자인데요" (추미애 법무부 장관)추미애 법무부 장관이 22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김태흠 미래통합당 의원과 법무부 알림 속에 담겨 있던 '수명자' 표현을 두고 감정이 섞인 고성을 주고받으며 설전을 벌였다.

김 의원은 법무부 장관 입장 가안문이 최강욱 열린민주당 대표에게 유출됐다는 논란을 거론하며 문건 유출 의혹을 제기했다.

그러자 추 장관은 '수명자'(법률 명령을 받는 사람)라는 법률 용어가 유출 증거라는 김 의원의 주장에 "그래서 어쨌다는 건가"라고 맞받았다.추 장관이 이같은 의혹을 전면 부인하자 김 의원은 "국민이 의심한다. 법무장관이 그러니까 나라 꼴이 공정과 정의가 무너졌다는 것"이라고 공세를 펼쳤고, 추 장관은 "의원님만 그렇게 주장하는 것"이라며 반격했다.

김 의원은 물러서지 않고 수명자라는 표현에 대한 지적을 계속하자 추 장관은 김 의원의 말을 끊고 "(해당 표현이) 법률 사전에 있다니까요"라고 격앙된 반응을 보였다.

김 의원이 "페이스북에 본인이 핍박의 주인공이라고 했지만 국민들은 핍박의 주인공은 윤석열 검찰총장이라고 생각한다"고 하자 추 장관은 "(윤) 총장이 수사팀을 계속 흔들려 했던 건 이미 언론보도에 적나라하게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답변 후 자리로 돌아가는 추미애 장관 (사진=연합뉴스)
김 의원은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 성폭력 의혹 사건에 대해 "주무 장관이 왜 침묵하느냐"며 이번 사건 피해자에 대한 2차 가해 문제를 언급했다.

그는 특히 "며칠 전 기사를 보니 장관님 아들 문제는, 신상 문제는 더는 건드리지 말라고 세게 말하던데"라며 개인 신상 보호 문제를 꺼냈다.

이에 추 장관은 "이 사건과 아들을 연결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것 같다"며 "질의에는 금도가 있다"고 경고했다.
사진=뉴스1
논란과 고성이 오간 끝에 추 장관은 답변을 마친 뒤 자리로 돌아가 앉았고 곧이어 김 의원과 설전을 벌인 내용이 담긴 기사를 휴대전화로 직접 검색해 국민들의 반응을 체크했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