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파 이틀 전부터 폭탄 설치 관측…野 "감지하고도 놔뒀나"

청와대는 16일 오후 우리 군의 감시 장비로 연락사무소가 폭파되는 상황을 포착한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국방부 제공
국방부가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폭파 이틀 전인 지난 14일 연락사무소에서 불꽃이 튀는 것을 미리 관측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민홍철 국회 국방위원장은 17일 언론 인터뷰에서 "김여정 부부장 발언 다음 날부터 국방부에서 연락사무소의 특이동향을 살폈고, 폭파 이틀 전 건물에서 불꽃이 튀는 것을 관측했다"면서 "그걸로 폭파를 예상한 것은 아니나, 폭파 이후에 종합 분석해보니 그게 폭파를 위한 사전작업이지 않겠느냐는 군의 보고가 있었다"고 말했다.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은 지난 13일 "연락사무소가 형체도 없이 무너지는 비참한 광경을 보게 될 것"이라고 위협했다. 이 발언이 나온 지 하루 만에 폭파 준비 작업에 들어간 셈이다.

군 관계자는 연락사무소 폭파 방식과 관련해 "폭파 당시 대포가 목격되지 않았다. 북한군이 건물 안팎에 폭발물을 설치해 폭파한 것으로 보인다"며 "폭탄 설치를 위해 건물 곳곳을 절단하는 과정에서 불꽃이 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보수 야권에선 "북한이 우리 측 재산을 폭파하려는 정황을 미리 파악했음에도 정부가 너무 소극적으로 대응한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왔다. 남북공동연락사무소는 2018년 4·27 판문점선언에 따라 그해 9월 문을 열었다. 개성공단 내 남북교류협력협의사무소 건물을 개·보수해 사용했다. 개·보수에만 약 100억원이 들었으며 우리 측이 비용을 전액 부담했다.

김명일 한경닷컴 기자 mi737@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