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發 고용충격 어디까지…4월에만 직장인 36만5000명 줄었다

코로나發 고용충격 제조업 확산
1년이상 근무 상용직도 13만명 급감
제조업에서도 5만6000명 감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지난달 직장인 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36만5000명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 사상 처음으로 근로자 수가 감소한 이후 감소폭이 확대되는 모양새다. 코로나19에 따른 고용충격은 임시일용직과 대면 서비스업을 넘어 상용직과 제조업으로도 확대되고 있다.

고용노동부가 28일 발표한 '4월 사업체노동력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내 1인 이상 사업체 종사자 수는 1822만4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2.0% 줄었다. 타격은 중소기업에 집중됐다. 전체 근로자 감소 폭은 36만5000명이었으나 300인 미만 사업자에서만 37만9000명이 급갑했다. 300인 이상에선 1만5000명 늘었다.실제 산업현장의 충격은 훨씬 더 심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사업체노동력 조사는 근로자를 1인 이상 고용하고 있는 사업장 대상 조사로, 농업과 가사 도우미 등은 제외된다. 또 1인 자영업자와 대리운전 기사 등 고정 사업장이 없는 특수고용직 종사자도 조사 대상이 아니다. 이들을 포함하면 지난달 실직자는 80만명에 달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실제 지난 3월 사업체노동력조사에서는 근로자 22만5000명이 줄었으나, 4월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에서는 전체 취업자 수가 47만6000명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고용부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무급휴직도 이직으로 집계하기 때문에 이직이 곧 실직을 의미하지는 않는다"면서도 "수출상황이 좋지 않아 고용사정 악화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가 길어지면서 임시일용직, 대면 서비스업에 머물던 일자리 타격이 정규직(상용직)과 제조업으로도 확산되고 있다. 지난 3월 8000명 감소하는데 그쳤던 상용직은 지난달 13만3000명이 줄었다. 상용직은 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근로자로 정규직으로 구분된다. 지난 3월 조사에서 처음으로 감소세(-1만1000명)로 전환된 제조업에서도 5만6000명이 줄어 감소폭이 확대되는 모양새다.지난달 제조업 종사자 수는 368만1000명으로 전체 근로자의 약 20%를 차지한다. 전 산업 중 종사자 수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 근로자는 지난해 9월 2만3000명까지 늘었으나 올 들어 1월 2000명 증가하는데 그치더니 2월에는 증가폭이 '제로(0)'를 기록했고 3월 -1만1000명, 지난달 -5만6000명으로 급감하고 있다. 다만 조선업이 포함된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은 지난달 4000명이 늘어 9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대면 서비스업 분야의 일자리 타격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음식·숙박업에서만 16만6000명(-13.1%)이 줄었다. 개학 연기와 학원 운영중단 권고에 따라 교육서비스업에서도 9만3000명(-5.8%)이 감소했고, 여행업이 포함된 사업시설 관리 및 임대서비스업에서는 5만9000명(-5.1%)이 줄었다.

문제는 임시일용직 위주의 단기 일자리로 제한적이던 고용 충격이 계약기간이 1년 이상인 상용직으로까지 확산되고 있다는 점이다. 상용직 근로자는 지난 3월 통계 작성 이래 처음으로 감소(-8000명·0.1%)했다. 지난달에는 13만3000명(-0.9%) 줄었다. 임시일용직은 14만4000명(-7.9%) 감소, 고정 사업장에 속해 있는 특수고용직 종사자 등 기타종사자는 8만7000명(-7.5%)이 줄었다. 고용부 관계자는 "상용직 근로자 감소는 기업들의 신규채용 축소와 함께 무급휴직 등이 늘면서 이직으로 집계됐기 때문"이라면서도 "코로나19로 인한 고용충격이 점점 커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정부 설명대로 채용시장은 얼어붙고 있다. 지난달 기준 입직자는 82만1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만9000명(-7.7%) 준 반면 이직은 88만1000명으로 7만6000명(9.5%) 증가했다. 특히 이직 중에서도 해고, 계약 종료 등 본인 의사와 무관한 비자발 이직이 45만명에 달했다. 비자발 이직에는 무급휴직, 육아휴직, 전출 등도 포함된다.

코로나19는 고용 악화 뿐만 아니라 임금에도 영향을 미쳤다. 지난 3월 기준 상용직의 임금총액은 364만1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1.1%(4만원) 증가한 반면 임시일용직은 166만원으로 11.1%(16만5000원) 급증했다. 권기섭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코로나19 영향이 숙박·음식점업 등 임시일용직이 많은 산업에 큰 영향을 미치다보니 저임금 근로자들이 노동시장에서 이탈한 영향"이라며 "코로나19로 인한 노동시장의 역설"이라고 말했다.

백승현 기자 argo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