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연 안성 쉼터, 공동모금회 회계 평가서 'F등급' 받았다
입력
수정
정의기억연대(정의연)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을 위해 경기도 안성에 설립한 '평화와 치유가 만나는 집'(안성 쉼터)이 당시 감시·감독 역할을 했던 사회복지공동모금회로부터 저조한 사업 평가를 받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18일 공동모금회에 따르면 모금회는 2015년 12월 안성 쉼터 사업에 대한 사업평가 결과로 경고성 제재 조치를 내리고, 정의연 측이 향후 2년간 모금회가 운영하는 분배사업에 참여할 수 없도록 했다.공동모금회 관계자는 "안성 쉼터의 사업 평가는 'A'부터 'F'(E등급 제외)까지 5단계 중 C등급을, 회계 평가는 F등급을 받았다"며 "시설 활용도가 떨어지고 각종 서류·영수증이 미비했던 것이 이유"라고 밝혔다.
앞서 정의연과 그 전신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매해 정부 보조금을 받아왔으나 결산 서류에 이를 '0원'으로 기재하는 등 각종 회계 부실 논란을 빚어왔다.
공동모금회 측은 "평가 내용을 바탕으로 시정을 요구했고 이후 정대협 측에서 시설을 매각하고 사업비를 반납하겠다는 의견을 제출해왔다"며 "2016년 9월 기부처인 현대중공업 측의 의사를 확인한 뒤 그해 11월 최종적으로 사업 중단을 확정했다"고 설명했다. 모금회는 "안성 쉼터의 매매 계약과 관련된 사항을 정확히 파악한 후 매각액을 돌려받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공동모금회는 쉼터를 서울이 아닌 경기도에 마련하도록 먼저 제안했다는 정의연 측의 해명도 "사실이 아니다"라며 반박했다. 모금회 측은 "기부자의 의사와 정대협의 전문성을 존중해 제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사업을) 검토하고 심의했을 뿐"이라며 "사업의 진행 절차상 모금회 측에서 먼저 제안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앞서 정의연은 이날 안성 쉼터를 시세보다 비싼 값에 매입한 뒤 최근 손해를 보고 팔았다는 주장과 안성 쉼터 운영비 지출 등과 관련한 의혹이 이어지자 연이어 해명을 내놨다. 정의연이 마포구에 이미 쉼터를 마련했음에도 석연찮은 과정을 거쳐 안성 쉼터를 조성했다는 것이 추가로 제기된 의혹 중 하나다.
앞서 정의연은 기존 서대문구에 있던 피해자 할머니들의 쉼터 상황이 열악해 새 공간을 물색하던 중 2012년 명성교회의 지원으로 서울 마포구 연남동에 '평화의 우리집'(마포 쉼터)을 얻게 됐다. 마포 쉼터를 무상 임대하게 됐지만,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현대중공업 측으로부터 기부받은 10억원으로 별도의 쉼터 조성을 추진하면 좋겠다는 의견을 내 안성 쉼터를 매입하게 됐다는 게 정의연의 주장이다.정의연은 "사업 목적을 '피해자들의 치유와 쉼' 등으로 변경해 공동모금회를 통해 기금을 전달받았다"며 "당시 정대협에서 박물관 건립과 함께 별도의 '힐링센터' 공간을 마련하려는 논의가 진행되던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정의연은 안성에 쉼터를 매입한 이유에 대해서는 "애초 염두에 뒀던 (서울 마포구 성산동)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인근에 있는 공간을 매입하고자 했으나 10억원으로는 박물관 인근은 물론 서울 시내에서 마땅한 공간을 찾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안성 쉼터에 큰 쓰임새가 없었음에도 정의연이 2014년부터 약 6년간 1억원 가까운 기부금을 쉼터 운영에 지출했다는 의혹도 제기됐으나 정의연은 사실관계가 다르다고 반박했다. 이와 관련 일부 언론은 안성 쉼터가 조성된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센터 운영에 쓰인 기부금은 윤미향 전 이사장의 부친에게 6년간 지급한 인건비 약 7600만원을 제외하고 총 9300여만원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정의연 측은 이에 대해 "(공동모금회를 통해 받은 기부금 10억원 중) 쉼터 운영에 쓰인 전체 기부금 규모가 9300여만원"이라며 "이 기부금 중 윤 전 이사장 부친의 인건비는 7742만원, 나머지는 전기세, 재산세 등으로 쓰인 관리비 1560만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안성 힐링센터(쉼터)에 대한 별도의 기부금은 없었다"며 "(별도 수익금은)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연대단체에 대여하고 받은 사용료 수입이 전부"라고 밝혔다.
정의연 측은 "연대단체 대여에 따른 사용료 수입은 일부 언론에서 '펜션 사용료'라고 보도하는 것"이라며 "2018년과 2019년 대여 건수를 따져봐도 최대 7건에 불과하며 그 수익금도 60만원 이내"라고 설명했다.
정의연은 마포 쉼터에 대해선 "현재 할머니 한 분이 거주하고 계신다"며 "명성교회로부터 거주하는 할머니들 사망 때까지 무상임대로 지원받아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미향 전 이사장의 주소지가 마포 쉼터로 이전돼 있었던 점에 대해서는 "주민등록상 김복동·길원옥 할머니 두 분 주소만 쉼터로 돼 있어 할머니들의 사망 신고를 해야 할 경우에 대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의연은 "당시 쉼터 소장은 국민임대주택 거주자로서 주소를 이전할 수 없어 윤 전 이사장이 이전을 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또 위장전입 의혹에 대해선 "주소지 이전으로 윤 전 이사장이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없다"고 해명했다.이날 정의연은 안성 쉼터 고가 매입 논란이 계속되자 최종 후보지로 올랐던 다른 2곳의 매매가와 구체적인 위치를 공개한 바 있다. 정의연은 접근성과 공간성, 친환경성, 공간 활용성 등을 기준으로 안성 금광면 부지를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18일 공동모금회에 따르면 모금회는 2015년 12월 안성 쉼터 사업에 대한 사업평가 결과로 경고성 제재 조치를 내리고, 정의연 측이 향후 2년간 모금회가 운영하는 분배사업에 참여할 수 없도록 했다.공동모금회 관계자는 "안성 쉼터의 사업 평가는 'A'부터 'F'(E등급 제외)까지 5단계 중 C등급을, 회계 평가는 F등급을 받았다"며 "시설 활용도가 떨어지고 각종 서류·영수증이 미비했던 것이 이유"라고 밝혔다.
앞서 정의연과 그 전신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매해 정부 보조금을 받아왔으나 결산 서류에 이를 '0원'으로 기재하는 등 각종 회계 부실 논란을 빚어왔다.
공동모금회 측은 "평가 내용을 바탕으로 시정을 요구했고 이후 정대협 측에서 시설을 매각하고 사업비를 반납하겠다는 의견을 제출해왔다"며 "2016년 9월 기부처인 현대중공업 측의 의사를 확인한 뒤 그해 11월 최종적으로 사업 중단을 확정했다"고 설명했다. 모금회는 "안성 쉼터의 매매 계약과 관련된 사항을 정확히 파악한 후 매각액을 돌려받을 예정"이라고 덧붙였다.공동모금회는 쉼터를 서울이 아닌 경기도에 마련하도록 먼저 제안했다는 정의연 측의 해명도 "사실이 아니다"라며 반박했다. 모금회 측은 "기부자의 의사와 정대협의 전문성을 존중해 제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사업을) 검토하고 심의했을 뿐"이라며 "사업의 진행 절차상 모금회 측에서 먼저 제안할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앞서 정의연은 이날 안성 쉼터를 시세보다 비싼 값에 매입한 뒤 최근 손해를 보고 팔았다는 주장과 안성 쉼터 운영비 지출 등과 관련한 의혹이 이어지자 연이어 해명을 내놨다. 정의연이 마포구에 이미 쉼터를 마련했음에도 석연찮은 과정을 거쳐 안성 쉼터를 조성했다는 것이 추가로 제기된 의혹 중 하나다.
앞서 정의연은 기존 서대문구에 있던 피해자 할머니들의 쉼터 상황이 열악해 새 공간을 물색하던 중 2012년 명성교회의 지원으로 서울 마포구 연남동에 '평화의 우리집'(마포 쉼터)을 얻게 됐다. 마포 쉼터를 무상 임대하게 됐지만, 사회복지공동모금회가 현대중공업 측으로부터 기부받은 10억원으로 별도의 쉼터 조성을 추진하면 좋겠다는 의견을 내 안성 쉼터를 매입하게 됐다는 게 정의연의 주장이다.정의연은 "사업 목적을 '피해자들의 치유와 쉼' 등으로 변경해 공동모금회를 통해 기금을 전달받았다"며 "당시 정대협에서 박물관 건립과 함께 별도의 '힐링센터' 공간을 마련하려는 논의가 진행되던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정의연은 안성에 쉼터를 매입한 이유에 대해서는 "애초 염두에 뒀던 (서울 마포구 성산동)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인근에 있는 공간을 매입하고자 했으나 10억원으로는 박물관 인근은 물론 서울 시내에서 마땅한 공간을 찾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안성 쉼터에 큰 쓰임새가 없었음에도 정의연이 2014년부터 약 6년간 1억원 가까운 기부금을 쉼터 운영에 지출했다는 의혹도 제기됐으나 정의연은 사실관계가 다르다고 반박했다. 이와 관련 일부 언론은 안성 쉼터가 조성된 2013년부터 지난해까지 센터 운영에 쓰인 기부금은 윤미향 전 이사장의 부친에게 6년간 지급한 인건비 약 7600만원을 제외하고 총 9300여만원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정의연 측은 이에 대해 "(공동모금회를 통해 받은 기부금 10억원 중) 쉼터 운영에 쓰인 전체 기부금 규모가 9300여만원"이라며 "이 기부금 중 윤 전 이사장 부친의 인건비는 7742만원, 나머지는 전기세, 재산세 등으로 쓰인 관리비 1560만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안성 힐링센터(쉼터)에 대한 별도의 기부금은 없었다"며 "(별도 수익금은)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연대단체에 대여하고 받은 사용료 수입이 전부"라고 밝혔다.
정의연 측은 "연대단체 대여에 따른 사용료 수입은 일부 언론에서 '펜션 사용료'라고 보도하는 것"이라며 "2018년과 2019년 대여 건수를 따져봐도 최대 7건에 불과하며 그 수익금도 60만원 이내"라고 설명했다.
정의연은 마포 쉼터에 대해선 "현재 할머니 한 분이 거주하고 계신다"며 "명성교회로부터 거주하는 할머니들 사망 때까지 무상임대로 지원받아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미향 전 이사장의 주소지가 마포 쉼터로 이전돼 있었던 점에 대해서는 "주민등록상 김복동·길원옥 할머니 두 분 주소만 쉼터로 돼 있어 할머니들의 사망 신고를 해야 할 경우에 대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의연은 "당시 쉼터 소장은 국민임대주택 거주자로서 주소를 이전할 수 없어 윤 전 이사장이 이전을 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또 위장전입 의혹에 대해선 "주소지 이전으로 윤 전 이사장이 얻을 수 있는 이익이 없다"고 해명했다.이날 정의연은 안성 쉼터 고가 매입 논란이 계속되자 최종 후보지로 올랐던 다른 2곳의 매매가와 구체적인 위치를 공개한 바 있다. 정의연은 접근성과 공간성, 친환경성, 공간 활용성 등을 기준으로 안성 금광면 부지를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