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年 247% 성장하는 메쉬코리아서 인재 찾아요"

취업에 강한 신문 한경 JOB

배달 브랜드 '부릉'으로 급성장
IT·사업·물류 경력직 수시 채용
이명선 메쉬코리아 TPM(왼쪽)과 서준호 사업기획실장.
2013년 설립 이후 연평균 매출 증가율 247%, 평균 연령 30세, 빠른 의사결정과 실행의 조직문화….

어떤 회사일까. 배달 서비스 브랜드 ‘부릉’을 통해 급성장하고 있는 메쉬코리아다. 네 명으로 출발한 직원은 200명을 넘어섰다. 서울 강남구 테헤란로에 있는 메쉬코리아 사무실엔 아직도 주인을 기다리는 빈 의자가 곳곳에 눈에 띄었다. 수시로 채용하고 있는 사람들을 위한 자리다.이명선 기술프로젝트 매니저는 LG엔시스(현 LG CNS), 삼성SDS 중국법인 등을 거쳐 지난해 메쉬코리아에 합류했다. 그가 내로라하는 대기업에서 스타트업으로 이직한 이유는 뭘까. 이 매니저는 매출과 회사 인지도, 빠른 의사결정과 실행이 있는 조직인지를 고려했다고 말했다.

2015년 5억원이었던 메쉬코리아 매출은 지난해 1615억원까지 급증했다. 급성장의 비결은 ‘오너십을 바탕으로 한 빠른 의사결정과 실행력’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메쉬코리아 IT플랫폼 본부는 모바일, 데이터분석 등의 분야에서 일한 인재를 채용하고 있다.

이 매니저는 “조직관리와 애자일(agile) 프로세스 경험이 있는 개발자를 찾고 있다”고 했다. ‘애자일 경험자’는 빠르게 변하는 불확실한 환경에 기민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을 말한다.사업기획실장을 맡고 있는 서준호 씨는 한경닷컴과 다음에서 뉴스팀장을 지냈다. 뉴스를 통해 산업의 트렌드를 익힌 뒤 카카오톡 주문하기 사업에 대한 경험도 쌓았다. 카카오에서 메쉬코리아로 옮긴 이유에 대해 서 실장은 “언택트(비대면) 비즈니스가 확산할수록 물류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메쉬코리아가 새로운 시장에 적합한 기업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서 실장은 “메쉬코리아엔 다양한 채널, 기업, 고객과 연결해 확장하면서 실행 전략을 짤 수 있는 인재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공태윤 기자 trues@hankyung.com

핫이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