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율 '60% 벽' 16년 만에 깨졌다…코로나 속 빛난 민주주의

중앙선관위 4시 기준 투표율 59.7% 발표
최대 70% 돌파할 거란 긍정적 전망도
높은 사전투표율 전체 분위기 견인 분석
투표 중요성 인식하는 유권자 많아졌단 평가
제21대 국회의원선거 투표일인 15일 오후 서울 송파구 잠전초등학교에 설치된 투표소에서 유권자들이 소중한 한표를 행사하고 있다. 2020.4.15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치러진 제21대 총선 투표율이 16년만에 사실상 60% 고지를 돌파했다. 국가적 위기 속에서 투표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유권자가 많아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15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날 4시 기준 21대 총선 투표율이 59.7%라고 밝혔다. 아직 선거 시간이 2시간 남아 있고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해 자가격리된 확진자들의 투표도 남아 있어 최대 70%까지 돌파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전망도 나온다.역대 총선에서 가장 높은 투표율은 1948년 제헌국회의 95.5%다. 이후 내림세를 타며 6대(1963년) 총선에서 72.1%로 떨어졌고 11대(1981년) 총선까지 70%대에 머물다가 신한민주당이 돌풍을 일으킨 12대(1985년) 총선 때 84.6%로 치솟았다.

13대 75.8%, 14대 71.9%, 15대 63.9%, 16대 57.2%, 17대 60.6%로 하향곡선을 그려온 총선 투표율은 2008년 18대 총선에서 역대 최저인 46.1%로 떨어졌다가 19대 총선에선 54.2%, 2016년 20대 총선에서 58.0%로 소폭 올랐다.

이번 총선에서의 높은 투표율은 사전투표율이 견인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지난 10~11일 진행된 사전투표율은 사전투표가 처음 도입된 2014년 지방선거 이래 역대 최고치인 26.69%를 기록했다. 20대 총선의 사전투표율(12.19%)보다 14.50%포인트나 높은 수치다.한 정치전문가는 "코로나19로 바깥 활동에 제약을 받던 시민들이 합법적인 외출을 할 수 있게 된 점이 사전투표율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며 "더 중요한 것은 코로나19라는 국가적 위기 속에서 투표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유권자가 많아 여야 양 진영은 물론 무당층에서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투표율이 높아졌다"고 분석했다.

선관위 관계자는 "최초로 만 18세에게 투표권이 생긴 영향에다가 평소 정치에 관심이 없던 유권자들까지 투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며 "2014년 처음 도입된 사전투표도 안착됐다"고 말했다.
총선 D-5일인 10일 오후 대전시 서구 둔산1동 사전투표소에 유권자들이 길게 줄서 있는 가운데, 순번이 다가온 유권자가 비닐장갑을 잡고 있다. 2020.4.10 [사진=연합뉴스]
코로나19 대유행 속에서 펼쳐진 한국에서 투표율이 높게 나타나자 외신들도 주목하고 있다. 영국 BBC방송은 홈페이지에 한국의 총선 소식을 주요 기사로 소개하며 한국 유권자들이 마스크를 착용한 채 투표장을 찾는다고 전했다.

이 매체는 유권자들이 투표장 앞에서 1m씩 떨어져 줄을 서서 차례를 기다린 다음 손을 소독하고 비닐장갑을 착용한 뒤 체온을 측정해야 투표용지를 받아들고 기표소에 들어갈 수 있다며 상세하게 소개했다. 로라 비커 BBC 한국 특파원은 "사전투표율이 26%를 기록, 역대 최고치를 보였다"며 "감염 공포가 투표 참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 같다"고 강조했다.

블룸버그통신도 "한국에서 전 세계에 코로나19가 퍼진 이래 가장 큰 선거가 진행 중"이라며 "한국이 다른 국가 지도자들에게 본보기가 될 수 있다"고 보도했다.

미국 주간지 타임은 최근 "한국이 코로나19 대규모 발병국 중 처음으로 전국 단위 선거를 치른다"며 "선거가 전염병 확산을 초래하지 않고 무사히 치러진다면 미국 대선을 비롯한 다른 나라 선거에 하나의 지침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4.15총선 사전투표 이틀째인 11일 오후 경기도 고양 일산 백석도서관에 마련된 투표소에 사전투표하러 나온 시민들로 긴 '투표행렬'이 생겼다. 2020.4.11 [사진=연합뉴스]
▶제21대 국회의원선거 후보 보기
https://www.hankyung.com/election2020/candidates

강경주 한경닷컴 기자 qurasoha@hankyung.com

핫이슈